메뉴 건너뛰기

위기의 발전노조 앞에는 세가지 길이 있다.

새로운시작 2011.05.27 조회 수 1508 추천 수 0

다섯가족을 싣고 10년차 항해를 해온 발전노조호가 mb태풍속에서 단협해지라는 암초에 걸려 최대의 위기를 맞았었다. 그러다 겨우 겨우 암초에서 벗어나 다시 항로를 시작하려는 이때, 퇴직연금이라는 암초가 나타났다.

그런데 mb태풍보다, 단협, 퇴직연금이라는 암초보다 더 무서운 위기가 닥쳐왔다

배의 운행을 책임지고 있는 간부들이 의견이 갈리워 싸우고 있다. 배가 산으로 가고 있다. 위기의 순간을 격어봐야 사람의 진가를 알수 있다고 했는데 또다른 위기가 닥쳐오자 사람들은 자기들의 본모습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보이고 있다.

발전노조호의 운명이 다했으니 각 가족별로 살길을 찾자며 억지로 구명보트를 내려 발전노조에서 탈출하자는 사람도 있고.

태풍과 암초를 두려워하지 말고 무조건 가던 대로 암초밭을 뚫고 전진하자며 선장을 욕하고 협박하는 사람도 있다.

그리고 다른 한편에서는 발전노조만으로는 태풍을 뚫고 나가기 어려우니 주변의 다른 배들과 묶어 새롭게 항로를 변경해 가자는 사람도 있다.

누구의 말이 오른지 분명하지 않은 상황에서 7월 복수노조의 초강력태풍이 몰아닥쳐 오고 있다. 말그대로 절체절명의 순간이며 풍전등화의 상황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다섯가족이 찢어져 각자 살자며 구명보틀 타고 탈출하는 순간 그들은 mb태풍속으로 침몰될 수밖에 없다. 발전노조호로도 버텨내지 못하는 태풍을 구명보트가 버텨낼수 없으며 결국 구명보트로 내려오기만을 기다리던 상어의 밥만 될 것이다.

또한 암초밭을 뚫고 용맹스럽게 전진하자는 사람들 말처럼 한다면 결국 발전노조호는 얼마가지 못하고 산산히 파손되어 자기운명을 다하게 될 것이다.

태풍을 이겨내려면 발전노조보다 더 커다란 배가 필요하며 암초에 깨지지 않으려면 과감하게 항로를 변경할 줄 알아야 한다.

지금 발전노조 앞에 필요한 것은 더 많이 더 크게 연대하고 단결하는 것이며 난파위기앞에서 해야할 일은 낡은 것은 과감하게 버려 배를 가볍게 만드는 것이다.

계속해서 닥쳐오는 태풍을 비껴가기 위해서는 과감하게 항로를 변화시킬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하다.

작금의 상황을 보면서 영화 좋은놈, 나쁜놈, 이상한 놈이 생각난다.

6개의 댓글

Profile
대안
2011.05.27

새로운시작님..

님은 현재의 발전노조가 위기에 봉착해 있고 해법으로 3가지를 제시 했는데

1안으로 "발전노조에서 탈출해 다섯 가족별로 살길을 찾자"와

2안으로 "태풍과 암초를 두려워하지 말고 발전노조호로 암초밭을 뚫고 전진하자"

3안으로 "주변의 다른 배들과 묶어 새롭게 항로를 변경해 가자"고 하며

 발전노조호의 난파위기 앞에서 낡은 것은 과감하게 버려

배를 가볍게 만들자는 의미는 1안인 <발전노조에서 탈출해 다섯 가족별로

 살길을 찾자는 사람들을 복수노조 시행시 보내고 가스공사,지역난방,한수원 등과 뜻이 맞는 노동조합과 연대해 에너지 산별로 묶자는 의미로 받아 들이면 되나요?

제가 보기엔 일단 1안으로 가서 다섯 가족끼리 흩어 졌다가 큰틀로 에너지 연맹 등으로

 묶는것도 하나의 방법 입니다   

Profile
대안3
2011.05.27

다른 노조와 더 크게 모이기 전에

우선 발전노조 깨는 작자들부터 정리해야 가능하겠죠!

Profile
발전
2011.05.28

다섯 가족끼리 흩어 졌다가 큰틀로 에너지 연맹 등으로 묶자.

흩어지는 순간 모든것은 끝난다는것을 모르시나요 

Profile
이해
2011.05.28

좋은 글입니다.

많은 고민을 하시는 분이라 느껴집니다.

댓글단님들의  위글에 대한 이해가 분분할거 같은데

새로운 시작님의 발전노조가 나아가야할 의견을 정리바랍니다.

Profile
이해하고??
2011.05.29

충분히 공감합니다. 다만,  발전노조라는 배를 버리고 탈출하기 전에 침몰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제거하는 것이 우선되어야지~ 앞으로 태풍이 몰려온다고 미리 구명보트로 탈출하는 어리석은 행동을 안했으면 합니다.

Profile
구명
2011.05.31

구명보트는  내려놓는 순간

얼마지나지 않아 풍랑을 맞아 내려않고 맙니다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229 자본의 성장과 전력자본의 침투 제2발 2012.02.20 934 0
3228 성과연봉제 도입되면 이렇게 될까요? 성과 2012.06.19 1289 0
3227 여기서 그렇게 설쳐대든 사람들 다 어디갔나? 차반이 2012.02.21 1080 0
3226 자본과 정권이 추진하는 전력산업 사유화 (전력산업과 노동조합 3) 제2발 2012.02.22 932 0
3225 택시사업주가 지원하는 파업, 프랑스 좌파연대의 총선 압승 노동과정치 2012.06.19 1183 0
3224 민노총 민중 2012.06.18 1103 0
3223 5조3교대, 프랑스의 5주 유급휴가제 (단체협약과 노동조합 6) 제2발 2012.02.22 1411 0
3222 그리스 총선 결과, 민영화대응연석회의 구성 노동과정치 2012.06.18 865 0
3221 신입직원에 대한 조합소개를 제대로 해야 (단체협약과 노동조합 7) 제2발 2012.02.24 1038 0
3220 남동따라 동서도 간다 6 나도간다 2012.07.13 2302 0
3219 전력판매 경쟁 당장은 힘들다 전기신문 2013.01.17 1389 0
3218 조합비반환 청구 소송한 명단 공개하라!! 3 궁금해 2012.06.20 3238 0
3217 발전회사들의 노동조건과 임원의 과도한 연봉 (전력산업과 노동조합 4) 제2발 2012.02.26 2807 0
3216 단체협약안에 대한 잘못된 분석과 설명 (단체협약과 노동조합 8) 제2발 2012.02.28 1395 0
3215 조합비 반환과 관련한 소송에 대하여 5 이상봉 2012.06.20 1621 0
3214 비정규직 해결방안, 영국 공공서비스 형편없어 노동과정치 2012.06.21 1027 0
3213 성과금 지급율이 어떻게 됩니까???? 화사별로 자세하게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궁금해 2012.06.21 1296 0
3212 성과금 지급율을 어떻게 나누어 줍니까? 몇월달에 몇%를 주는지 궁금합니다.이번달은 지급율은 어떻게 되지요 4 신입조합원 2012.06.21 1989 0
3211 서부노조의 옆차기와 왜곡 3 옆차기 2012.06.22 3065 0
3210 발전노조 임단협 과반지위 이상한 논리 3 사무국장 2012.11.16 2511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