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발전노조, 퇴직연금제 부결 ‘후유증’

전기신문 2011.05.16 조회 수 1219 추천 수 0
발전노조, 퇴직연금제 부결 ‘후유증’

회사별로 찬·반의견 엇갈려.
운동계파간 대리전 양상 지적도.



<전기신문>

 

발전노조가 퇴직연금제 찬반투표 부결에 따른 후유증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발전노조는 지난 2~3일 전체 조합원 6062명을 대상으로 퇴직연금제 도입을 묻는
 찬반투표를 벌였으나, 57.7%의 반대로 부결 처리했다.

퇴직연금제는 ▲회사가 대신 투자하는 집단주식 형태의 급여확정형(DB)과
▲개인이 투자하는 확정기여형(DC)이 있다.
중간정산금으로 재테크하기 불안한 사람은 현행대로 퇴직금제를 유지해도 된다.

하지만 조합원마다 처한 상황이 달랐던 탓에 이번 결과에 아쉬움을 표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회사별로 찬반양론이 뚜렷하게 엇갈렸다는 점도 후유증이 금세 치유되지 않는 요인이다.
서부발전과 남부발전에서는 퇴직연금제 도입에 찬성표가 많이 나온 반면
 남동발전과 중부발전에선 반대표가 압도적이었다.

상황이 이쯤 되자, 회사 실정에 따라 퇴직연금제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일부 회사에서는 조합원들의 동의를 구하기 위한 서명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발전노조 규약을 보면, 조합원 절반 이상의 동의를 얻으면 교섭권 요청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현 집행부와 정치적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운동세력이 투표 이전부터 퇴직연금제 도입을
강력하게 반대해왔다는 것도 눈여겨 볼만 하다.
투표가 사실상 발전노조의 양대 계파간 대리전 양상을 띠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발전노조 인터넷 게시판에는 지금도 퇴직연금제와 관련한 비판과 반박글로 도배되다시피 하고 있다.
발전노조 관계자는 “퇴직연금제 자체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는, 기존 퇴직금제를 선호하는
조합원들이 투표에 대거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투표율이 비교적 낮았다고 본다”며
“재정여건이 어려운 조합원들을 위해 중간정산할 수 있는 방안을
앞으로 사측과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2~3일 투표에서는 총조합원 6062명 가운데 63.7%인 3860명이 기표했으며,
 이 가운데 찬성이 1620표(41.97%), 반대가 2227표(57.7%), 무효가 13표(0.33%) 나온 바 있다.

3개의 댓글

Profile
에이퉤~
2011.05.16

현투위 개새끼들아 말좀해봐라

조합원의 눈고ㅏ 귀를 가리고 너희들의 정치이념, 사회주의 노선 심어주기 바쁘지

밖에서는 너희드이 기득권을 위해 정파 대리전으로 부결운동한거 다안다 ..이런 씨바르노무새끼들아

7월1일 발전노조르 탈퇴안하면 내가 개자식이다 퉤~

Profile
앞뒤없이
2011.05.17

퇴직연금외에도 찬,반은 있으며 중요한 것은 부결 되었다는 것입니다.

에이퉤님의 말이 너무 거칠고 기본이 없는 사람으로 보입니다. 

Profile
맞아요
2011.05.17

퇴직연금을 한다고 중간정산 퇴직금이 바로 본인들 주머니로 들어간다고 생각하는 어리석음의 최첨단입니다. 에이퉤님은 앞뒤가 있게 글좀 쓰세요...그냥 지껄이지 말고 말입니다. 머리가 폼으로 있는것도 아니고....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151 한전-전력관계자 수고가 많습니다" 한전 2012.09.03 1234 0
3150 연봉제에 대해 7 현장 2012.09.03 1415 0
3149 발전노동자 26호 소식지를 보고 질문??? 2 조합원 2012.09.03 1034 0
3148 남부역량평가 2 다시시작 2012.09.04 1246 0
3147 "자본"을 읽어야 하는 이유 조운찬 2012.09.04 858 0
3146 굴욕적인 중부노조의 고백 4 개보기 2012.09.04 1626 0
3145 87년 노동자대투쟁 25주년 기념강좌 노동자교육센터 2012.09.04 817 0
3144 5조3교대제로의 근무 형태 변경과 정년연장 제도 도입을 제안하며 10 이상봉 2012.03.11 2861 0
3143 동서발전과 이마트 동서 2013.03.15 2665 0
3142 [인권연대 기획강좌] 역사의 광해군, 영화의 광해 - 사실과 상상 사이 인권연대 2013.03.15 2090 0
3141 [최고위원후보] 중단없는 혁신! 이홍우가 하겠습니다! 이홍우혁신선본 2012.06.26 816 0
3140 건설노조 무기한 총파업 돌입, 미국 사회불평등 100년만에 최고 노동과정치 2012.06.27 947 0
3139 [성명] 물류를 멈춰 세상을 바꾸자! 화물연대의 총파업투쟁을 지지한다 사노위 2012.06.27 1362 0
3138 임금차액소송 1 임금차액소송 2012.06.27 1674 0
3137 송유나님의 "전력산업 민영화현황 - 민자발전시장의 급성장" 을 읽고 1 이상봉 2012.06.27 1556 0
3136 복수노조 1년, 교묘한 탄압 (발전노조 관련기사) 5 경향 2012.07.02 1659 0
3135 남부기업노조 분열 시작(남부노조게시판 펌) 6 드디어 2012.07.02 2214 0
3134 인물과 노동조합 1 (스파르타쿠스) 제2발 2012.03.12 998 0
3133 진보신당과 사회당이 진보좌파정당으로 통합하다 노동자 2012.03.12 815 0
3132 인물과 노동조합 2 (토마스 뮌쩌) 제2발 2012.03.13 842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