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퇴직연금 고민

조합원 2011.05.02 조회 수 1360 추천 수 0
현재 같은 연봉을 받는 직장인 두 명이 있다. 이들이 퇴직 후에 받게 되는 연금 액수도 같을까? 정답은 ‘아니다’다. 2005년 국내에 처음 도입된 ‘퇴직연금’제도 때문이다.

이른바 ‘100세 시대’가 열리면서 퇴직 후 노후를 고민하는 직장인이 늘고 있다. 평균수명은 늘어나는데 반해 고정적으로 수입이 들어오는 재직 기간은 한정돼 있어서다. 이처럼 노후를 대비하는 직장인들이 늘면서 해마다 시장이 급성장하는 것이 바로 퇴직연금제도다.

기존에 퇴직금제도가 회사 내에 퇴직금을 적립해 놓고 퇴직할 때 한꺼번에 지급받는 것이라면, 퇴직연금제도는 회사가 사외 금융기관에 일정 금액을 적립하고 근로자는 퇴직 시점에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지급받는 제도다. 40년 간 지속돼 온 퇴직금 제도가 회사에는 경영 부담을 안겨 주고 근로자에게는 불안감을 안겨 줬다면, 퇴직연금제도는 금융기관에 관리를 맡겨 안전하고 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퇴직연금 시장이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다고 해도 여전히 직장인들에게는 선택에 어려움이 따른다. 난해한 용어는 물론이고 다양한 상품들이 봇물 터지듯 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퇴직연금 상품을 고르기 전 가장 고민스러운 게 DB(확정급여형)형이냐 DC(확정기여형)형이냐 다.

퇴직연금은 크게 기업이 투자 운용을 책임지는 DB형과, 근로자 개인이 책임지는 DC형 두 가지로 나뉜다. DB형은 회사가 퇴직금에 해당하는 금액의 60% 이상을 외부에 맡겨 운용하기 때문에 근로자 계좌에는 돈이 들어오지 않는다. 반면 DC형은 회사가 매년 연봉의 12분의 1 이상을 근로자의 계좌에 적립해 주면 근로자가 직접 금융회사를 선택해 투자를 맡기는 방식이다.

직장인들 대부분이 막연히 알고 있는 것은 ‘금융을 잘 모르면 DB형을 고르고, 금융을 알면 DC형을 고르라’는 정도다. 조금 더 살펴보면 파산위험이 없는 직장이나 임금 상승률이 높은 기업, 투자 성향이 비교적 보수적인 근로자의 경우 DB형이 유리하다. 따라서 DB형의 경우 근로자의 평균임금이 높으면 퇴직연금 수령액도 그만큼 많아진다.

DC형은 근로자가 적립금을 운용하여 그 성과를 퇴직금에 반영하는 것으로 파산이나 임금 체불 위험이 있는 기업, 직장 이동이 잦고 투자 성향이 비교적 공격적인 근로자가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 퇴직 시점이 가까운 간부급은 회사가 책임지고 보수적으로 관리해 보다 안정성이 높은 DB형이 낫고, 퇴직 시점이 많이 남아 공격적인 투자로 수익성을 추구하는 젊은 사원이라면 DC형이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대부분 보수적이고 안정적인 성향이 강해서 직접 퇴직연금을 고르고 운용하는 데 어려움을 많이 느낀다”면서 “기대 수명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노 후대비를 위한 퇴직연금 가입에 근로자와 회사가 함께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850 서부노조의 엄청난 실책 2 직권조인 2015.02.21 1340 0
2849 감사원 "에너지공기업, 무리한 SPC 운영으로 거액 손실" 방만이 2014.07.04 1341 0
2848 우리나라에서 제일 멋진 노조 안찰수 2017.05.19 1341 0
2847 이 정도는 되야 최고라 할수있다 노조기자 2012.09.13 1342 0
2846 남동 단협투표를 보며.... 껍데기는 가라 !!! 14 난 정말 2014.07.02 1343 0
2845 발전노조가 존재해야 하는 이유 3 질긴놈 2011.12.12 1344 0
2844 복직 ㅊㅋㅊㅋ 1 똘스 2012.06.28 1344 0
2843 [재능투쟁] 6월 21일 투쟁문화제에 함께 해요 사노위 해산 선언자 모임 2011.06.20 1345 0
2842 언론파업노조원들을 도웁시다. 같이 투쟁 2012.05.16 1345 0
2841 해복투위원장님 뻘짓하지말고 해명이나 좀 해봐! 1 쫄지마 2011.11.17 1345 0
2840 요즘 통상임금 관련 판결이 자주 나오던데, 우리 소송은 어떻게 되어가나요??/ 1 발전노조원 2014.04.15 1345 0
2839 2009년도에 이은 2011년도 신입사원 초임삭감... 5 신입 2011.12.11 1346 0
2838 정의를 돈으로 사라고 한다. 6 이쯤되면 2011.10.24 1346 0
2837 중부직원발령은 히보기가 한다메 2 유아독존 2012.02.12 1346 0
2836 꼽싸리 끼는 회사노조 어느회사? 2015.06.22 1346 0
2835 타회사들은 통상임금 결과가 나오는데 발전노조는 어떻게 되어 가고 있습니까 2 통상임금 2014.06.05 1348 0
2834 [노동자교육센터] 인문학강좌 안내 노동자교육센터 2012.10.23 1349 0
2833 내부승진 공기업 사장 부패 천국~~~!! 부패사장 2015.01.11 1349 0
2832 중부노조가 한국노총으로 상급단체 가입 찬반투표를 했다던데... 1 중부 2015.07.21 1349 0
2831 대법원 "동서발전은 발전노조에 7천만원 배상하라" 1 병신년 2016.05.31 1349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