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퇴직연금제 찬성하는 이유

찬성자 2011.05.02 조회 수 1478 추천 수 0

퇴직연금은 기본적으로 확정급여형(DB)과 확정기여형(DC) 그리고 개인퇴직계좌인 IRA가 있습니다

- DB형 : 기존의 퇴직금 방식과 변함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적립금은 회사지분으로( 단, 인출권한이 없음 ) 직원 퇴직시에 회사퇴직금규정에 따라 지급

             하게 됩니다. 이 경우 적립금의 이자수익은 회사지분의 증가로 이어집니다.

             또한, DB형의 경우는 중간정산을 반드시 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중간정산을 하려면 회사에서

             직원들에게 일시불로 지불해야하기 때문에 자금부담이 되지만 DB형으로 할 경우 퇴직급여충담금

             ( 추계액 )을 일시불로 납입하지 않고 분납을 해도 되기 때문입니다.

- DC형 : DC형의 경우는 중간정산을 한 후에 매년 퇴직금해당분을 퇴직연금사업자에 납부하면 각 개인지분

             계좌에 적립이 되는 형태로 적립금의 이자수익은 각 개인지분으로 산입되게 됩니다

             또한, DC형의 경우는 개인이 자기지분에 대하여 투자관리를 직접 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DC형의 경우는 반드시 중간정산을 해야하며 중간정산 이후 새로 시작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경우 중간정산받은 금액을 IRA로 납입하시면 퇴직소득세 적용이 해지시점으로 연기됩니다 

 - IRA : 특정회사와 관계없이 본인의 퇴직계좌를 설정하는 것으로 세제적격연금저축과 함께 소득공제혜택

            ( 2011년 부터 년간 400만원 한도로 증액 )을 받을 수 있으며, 중간정산금액( 80% 이상 )을 6개월

            이내에 납입 시 퇴직소득세를 이연시킬 수 있으므로 타상품대비 고수익을 노릴 수 있습니다

            또한, 연금 수령뿐 아니라 언제든 일시금으로 수령이 가능합니다( 퇴직소득세 납부 필요 )      

 

이러한 경우 어느제도가 유리한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면,  투자수익율이 급여인상율보다 높으면 DC형이 유리하고 반대경우에는  DB형이 유리한 겁니다

마찬가지로, 지금 중간정산을 받아서 해당 중간정산금을 IRA로 불입하고 해당 계좌( 본인이 투자배분 가능 )

의 수익율이 급여인상율보다 높게되면 중간정산이 유리하게 되는 것입니다.

 

** 찬성하는 이유는 아무래도 급여인상분 보다는 투자수익율이 높을 거라는 판단입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부동산이 치솟았지만 이미 미국이나 유럽은 금융투자 수익율이 높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부동산 대 금융투자비율이 7:3 이라면 향후 5년안에 5:5  10년정도지나면 선진국형인

3:7이 될것이기 때문입니다. GNP가 높아질수록 금융투자가 더 메리트가 있다는거 이미 경제학에서는

교과서입니다. 그래서 찬성합니다.

2개의 댓글

Profile
옳소
2011.05.02

구구절절이 옳으신 말씀 경제를 아시는 분이구만

Profile
금융가
2011.05.02

DC형 투자법.. 증권시장이 활황기에는 펀드형에 70% 납입하고 채권형에 30% 분산투자 한다. 그 반대는 채권형과 펀드형에 7:3 비율로 분산하고.. 한마디로 투자 상품에 제한은 없다. 전액 은행에 정기예금식으로 운용해도 무방하다.

 

증권시장 꼭지와 바닥 구별법은....

꼭지는 주가가 연일 급등하며 톱뉴스로 장식하고 온통 장미빛 환상에 들떠 있을때..주위에 전혀 주식과 연관없는 사람이 주식에 관심을 같을때... 서서히 빠져나온다.

 

바닥은..  국내외 금융위기가 닥쳐서 경제위기가 왔을때.. 뉴스에 증권관련 종사자나 투자자가 자살소식이 나올때.. 즉 공포가 극에 이를때 서서히 진입을 한다.

 

분할진입..분할청산.. 5.3.2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5210 퇴직연금제는 끝났다. 7 지리산 2011.05.18 1729 0
5209 퇴직연금제가 가결되든 부결되든 1 조합원 2011.05.03 1144 0
5208 퇴직연금제.. 4 퇴직연금 2011.04.28 2689 0
5207 퇴직연금제, 한 마디로 정리하면 3 난반댈세 2011.05.02 1583 0
5206 퇴직연금제 향후 시나리오.. 2 발전 2011.05.04 1307 0
5205 퇴직연금제 찬성하시는 지부나 집행부들 15 1 2011.05.04 1975 0
퇴직연금제 찬성하는 이유 2 찬성자 2011.05.02 1478 0
5203 퇴직연금제 적극 찬성 합니다. 그리고 괴 소문 하나... 12 개나리 2011.04.22 5518 0
5202 퇴직연금제 용역연구 파일이 깨져 있습니다. 재업로드 부탁합니다. 노조원 2011.04.29 1049 0
5201 퇴직연금제 어디로 흘러가는지 (4월30일 안으로 해결이 되어야) 5 근로자 2011.02.18 5716 0
5200 퇴직연금제 설명 압축화일 오류발생 1 물귀신 2011.04.27 1559 0
5199 퇴직연금제 서부가 앞장서는 분위기 인데 ... 자운영 2011.05.17 1055 0
5198 퇴직연금제 보다는 중간정산받아 활용하는게 유리 7 발전노조 2011.03.24 3715 0
5197 퇴직연금제 반대지부.. 8 알림이 2011.05.01 1754 0
5196 퇴직연금제 도입전 임금인상 끝내라 2 임금협상 2011.04.29 1171 0
5195 퇴직연금제 도입을 위한 교섭권 위임 요구를 중단하라! 12 현투위 2011.05.11 1350 0
5194 퇴직연금제 도입을 반대한다! 8 현투위 2011.04.29 1453 0
5193 퇴직연금제 도입을 노리는 교육을 철회하라 3 연봉제 2011.04.27 2967 0
5192 퇴직연금제 도입여부 찬반투표 결과 효력유지 가처분 신청 결과 5 노동법원 2011.05.16 1418 0
5191 퇴직연금제 도입건 부결후 유감 2 만세보령 2011.05.12 1071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