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제 유연탄시장 동향과 전망

정책위원회 2010.03.15 조회 수 3698 추천 수 0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 보고있는 국제 유연탄 관련 동향입니다.
결론적으로 유연탄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수입다변화와 자주개발을 주장하고 있지만
이는 또한 결국 유연탄수급의 외주(?)를 염두에 두고 있는 포석은 아닐까라는 기우를
해봅니다.

---------------------------------------------------------------------------------

요약

○ 유연탄은 2008년 기준 세계 1차에너지 소비량의 29.2%(BP, 2009)를 차지하여 석유에 이어 두 번째로 비중이 큰 에너지원임. 유연탄은 황과 질소 및 탄소배출과 같은 대표적인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여겨지고 있음.

○ 그러나 유연탄은 석유와 천연가스가 고갈되더라도 가장 오래 쓸 수 있는 화석원료이며, 향후 철강산업과 시멘트산업 그리고 발전소 등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보임. 세계 전체 유연탄 확인매장량은 유연탄이 8,260억 톤으로 아역청탄과 갈탄이 4,147억 톤이 포함되어 있으며, 현 생산량 수준에서 약 122년을 생산할 수 있는 막대한 수준임.

○ 1990년대 말 이후 국제 에너지시장에서의 고유가 상황 지속으로 에너지 소비국들의 유연탄수요가 증가세임. 세계 최대 유연탄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은 유연탄 위주의 에너지 소비구조를 계속 유지시킬 것으로 예상됨. 이와 더불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대규모 에너지 소비국인 인도를 포함해 아시아 국가들의 유연탄소비도 증가 추세에 있음. 아시아 유연탄시장에서 중국과 함께 주요 유연탄 공급국들의 최근 공급여건 악화도 향후 유연탄수급 상황을 어렵게 만들고 있음.

○ 세계 전체의 유연탄수요는 현재 신재생에너지(수력 제외)를 제외하고 다른 어떤 에너지원보다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매년 평균 1.9% 즉 2007년에 45.48억 톤 수준(석탄환산톤, TCE 기준)에서 2030년에 69.8억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임. 유연탄은 전세계 1차에너지 수요의 27%를 차지하며, 석유 다음으로 중요한 연료임. 유연탄은 주로 비OECD국가들의 전력부문 수요를 차지하며, 전세계 연료구성에서 유연탄의 비중은 2030년에 29%에 달할 전망임.

○ 우리나라는 유연탄의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2008년에 총 9,047만 톤의 유연탄을 수입하였고, 금액으로 약 111.6억 달러를 지불함. 호주, 인도네시아, 중국 등에 대한 유연탄 수입의존도가 82.8%에 달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안정적 유연탄 도입을 위한 중․장기적 대응방안과 갑작스런 공급중단에 따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함.

○ 우리나라 기업들은 해외 유연탄개발 사업을 처음 시작한 1977년부터 2008년까지 총 8개국에서 57개 유연탄 사업을 추진하였음. 2008년 말 기준 유연탄의 경우 우리나라가 해외에서 확보한 유연탄의 가채매장량은 1,178백만 톤, 총 수입량 75백만 톤, 자주개발량 35.5백만 톤, 그리고 유연탄의 자주개발률은 37.9%를 기록하고 있음.

○ 우리나라의 유연탄 수입구조가 일부 국가에 편중되어 있는 상황에서, 유연탄공급 안정성을 위해 수입선 다변화 및 해외 자주개발률 증대가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임. 또한 최근 유연탄가격 하향 안정세 상황에서 국내 유연탄 자주개발률을 제고시키기 위한 해외 진출전략이 중요함.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 한미 FTA 대응 담당자 간담회 자료(공공운수연맹) 정책위원회 2007.04.22 2928
25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정책위원회 2007.04.17 2071
24 전기사업법 정책위원회 2007.03.30 2162
23 매일노동뉴스 "5개 발전회사로 분할돼 3조원 손실봤다" 정책위원회 2007.03.29 2773
22 감사원감사청구에 따른 발전통합 소식지 정책위원회 2007.03.28 2743
21 '감사원감사청구'에 다른 서명운동 요청 정책위원회 2007.03.19 3484
20 발전 5개사 영업이익 강제축소에 따른 문제점 해결 요청 정책위원회 2007.03.14 3089
19 "5개 발전회사 다시통합해야한다"(매일노동뉴스 기사) 정책위원회 2007.03.14 3084
18 청원법 정책위원회 2007.03.13 3336
17 「에너지 체제전환 프로젝트」해외실사 보고서(2006년 12월) 정책위원회 2007.03.12 3551
16 발전회사통합 정책실천단 발족식 알림 정책위원회 2007.03.12 3231
15 발전회사 사장후보 정보공개 요청 정책위원회 2007.02.27 3590
14 임원추천위원회 위원에 노조추천위원 참여알림 정책위원회 2007.02.14 3703
13 국가에너지 위원회에서 확정된 에너지비전 2030 정책위원회 2007.02.10 3598
12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정책위원회 2007.02.05 2640
11 발전회사통합 정책실천단에 함께 해 주십시요! 정책위원회 2007.01.22 3250
10 에너지기본법 [제정 2006.3.3 법률 제7860호] 정책위원회 2007.01.09 2987
9 발전회사통합 정책실천단 모집 포스터 정책위원회 2007.01.05 4615
8 '발전회사통합 정책실천단 모집'포수터 배부알림 정책위원회 2007.01.03 3458
7 '발전회사통합 정책실천단' 가입방법 및 사업계획 정책위원회 2006.12.22 3832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