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세상] 발전노조는 왜 파업을 선택했나

노동조합 2006.09.04 조회 수 1624 추천 수 0

정부의 발전회사 민영화 정책 전력대란 우려

  

이꽃맘 기자 iliberty@jinbo.net / 2006년09월03일 22시18분  

94년부터 추진되어 온 정부의 발전소 분할 매각 정책

발전노조는 ‘전력대란’을 막기 위해 파업을 선택했다.
발전노조의 핵심 요구는 모든 국민이 안정적으로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공공성을 강화하자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 94년부터 발전부문에 경쟁을 도입하기 위해 발전회사를 수개로 분할해 단계적인 민영화를 추진해왔다. 이후 98년 정부는 한전을 수력원자력 1개사와 5개의 발전회사(남동발전, 서부발전, 중부발전, 남부발전 등)로 분리해 매각을 추진했다. 이에 발전노조는 2002년 38일 간의 파업투쟁을 통해 분할매각을 잠정 중단시킨바 있다. 그러나 정부는 매각정책과 의지를 꺾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통합적이고 안정적으로 구축되어야 할 전력 공급 시스템은 효율화를 내세운 민영화 정책으로 붕괴되고 있다. 이에 대해 발전노조는 “전력산업은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의 장점을 살리면서, 공공재의 특성에 맞게 저렴하고 안정적인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수직 통합적 공기업 체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민영화 따른 전력대란 현실로

세계 곳곳에서도 발전회사 민영화의 문제점은 드러나고 있다. 발전노조에 따르면 미국의 캘리포니아주의 경우 2001년 전력 대란을 경험하고 나서 발전회사를 다시 국가 소유로 전환했고, 영국도 민영화 이후 전 국민의 16%가 에너지 빈곤층으로 전락하자 다시 전력회사들을 국가 소유로 바꾸었다.

이런 발전회사 민영화의 폐해는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제주도 전역에서 정전사태가 있었으며, 여수와 고리에서도 원전사고가 있었다. 이 당시 사건 현장을 조사한 산자부는 “연계선이 외국기업에 의해 설비돼 유지관리 기술부족이 있었다”라고 밝힌 바 있다. 결국 민영화로 인해 전력계통의 운영주체가 완전히 해체 분산되는 바람에 위기대응 능력이 상실돼 안전사고와 설비사고 등이 크게 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민영화 정책은 에너지의 양극화도 가속화 시키고 있다. 작년 7월에는 넉 달 치 전기요금을 내지 못해 촛불을 켜고 생활하다가 중학생이 화재로 사망하는 사고까지 일어났었다.

외국의 전력대란 사태가 한국에서도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발전노조, “대규모 정전으로 고통 받는 국민 앞에서 우리가 무슨 할 말이 있겠나”

이에 대해 발전노조는 “죽어간 여중생 앞에서, 대규모의 정전으로 고통 받았던 국민들 앞에서 전력산업구조개편과 발전소 분할을 막지 못한 우리가 무슨 말을 할 수 있겠습니까”라며 “산자부는 여전히 촛불을 켜다가 죽은 제2, 제3의 여중생과 대규모 정전사태를 불러올 발전소 매각정책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라고 이번 파업의 의미를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노조의 요구에 대해 “발전회사 통합은 국회에서 의결, 공포되어 추진 중인 정부의 정책적 사항으로 노사간 논의할 대상이 아니라고 사료되며, 사회 공공성에 대해 고용창출 및 지역발전 등에 인식을 같이 하고 무인화 운전을 지양”하겠다고 밝혀 결국 모든 공공노동자들에게 올가미가 되고 있는 정부의 정책이 발전 노동자에게도 올가미가 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쟁점을 좁히는 것이 아니라 대체인력 투입과 직권중재로 노조의 파업을 불법화 시키는 데만 혈안이 되어 있다. 결국 문제의 해결은 정부의 발전회사 민영화 정책의 전면 재검토와 사측의 적극적인 교섭에 달려 있다.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7 [뉴시스]민주노총 공공부문 노조, 공동파업 돌입 노동조합 2009.11.11 1063
346 [참세상]발전산업 구조조정 후폭풍, 노동자 자살 시도까지 노동조합 2013.03.15 1065
345 [폴리뉴스] 한전 발전사, 노조 극한 대립으로 치닫나 노동조합 2009.11.04 1065
344 [0708 파이낸셜뉴스] [공기업이 바뀐다] “실적만이 살 길” 자구노력 교육선전실 2008.07.09 1069
343 [머니투데이]지경부-한전, 누구 말이 맞나 / 연료공동구매-발전자회사 재통합 놓고 기싸움 노동조합 2009.10.08 1069
342 [매일노동뉴스]발전 5사 '자회사 설립' 확정해 놓고 정규직 전환 협의 '시늉' 발전노조 2018.09.27 1069
341 [한겨레신문] MB정부 ‘노조무력화 타깃’은 산별노조 노동조합 2011.01.18 1070
340 [매일노동뉴스]발전노조 "동서발전 노조탈퇴 공작" 업무방해 고소 발전노조 2017.10.12 1070
339 [매일노동뉴스]"조직의 명운 걸고 사회공공성 지키겠다"-이상무 공공운수노조,연맹 위원장 인터뷰 노동조합 2013.06.03 1073
338 [매일노동뉴스] 법원 '이길구 사장 노조탄압 주장' "명예훼손 아니다" 노동조합 2011.09.02 1075
337 [머니투데이]공기업노조 파업 돌입… 노-정 갈등 심화 노동조합 2009.11.11 1080
336 [서울신문]공기업 민영화 앞당긴다 교육선전실 2008.05.20 1081
335 [매일노동뉴스] 노동계에 부는 '블랙리스트' 바람 노동조합 2011.01.18 1082
334 [파이넨셜 뉴스]양대 노총 공공연맹 “공공기관 선진화 반대 연대투쟁” 노동조합 2009.11.03 1084
333 [경향신문][시간제 일자리 확대]공공부문 2017년까지 1만6500개 창출… 전일제는 줄고 저임금 알바 양산 우려 노동조합 2013.11.14 1084
332 [이투데이]발전노조,'공기업 선진화 반대' 파업 실시 노동조합 2009.11.03 1091
331 [매일노동뉴스] 민주노총 "신규노조 10곳 중 6곳 이상 회사노조" 노동조합 2011.08.24 1092
330 [매일노동뉴스] 노사관계 선진화의 이면 노동조합 2011.09.14 1095
329 [진보신당 논평] 이명박 정부는 공공부문노조 파업 몰아가기 중단하라 노동조합 2009.11.11 1098
328 [ytn뉴스] 발전 5개사, 노조에 '단협 해지' 통보 노동조합 2009.11.04 1103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