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미 FTA 국내 제약산업에 타격” LG경제연구원(펌글)

lonelyrobo 2006.04.14 조회 수 2360 추천 수 0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서 의약품과 관련된 미국의 요구사항이 관철되면 국내 제약산업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제네릭(특허 만료된 오리지널 약의 복제품) 개발에만 의존하는 다수 영세 제약업체들은 FTA로 생존 기반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LG경제연구원은 12일 '한미 FTA가 국내 제약산업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미국은 이번 FTA를 통해 자국 제약사의 한국 시장 침투가 수월하도록 약값 및 특허권 관련 제도의 변화를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FTA를 계기로 우리나라의 신약 가격 산정 기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전망이다.

현재 국내 오리지널 신약 가격은 선진 7개국 평균과 유사 효능 제품의 가격을 비교해 낮은 쪽을 따르도록 돼 있지만 실제로는 선진 7개국 평균의 50%에 불과, 다국적 제약기업들이 계속 불만을 표시해왔다.

또 미국은 우리 정부가 약값 인하를 위해 추진해온 참조가격제(일정 수준의 상한가를 설정하고 초과가격은 환자가 부담하는 제도)나 포지티브 약가제(약효와 경제성을 평가해 보험급여 대상 약품을 제한하는 제도) 등에 대해서도 재검토를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국내 제네릭 의약품의 가격을 오리지널 제품의 80% 수준까지 보장하는 제도 역시 미국측의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미국은 이와 함께 싱가포르나 호주와의 FTA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 대해서도 신약에 대한 자료 독점권과 특허기간 연장 규정 등을 요구하면서 본격적으로 의약품 특허권 강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연구원은 미국의 이런 요구가 대부분 관철돼 제네릭 의약품 개발 환경이 나빠지면 극소수 대형업체를 제외한 국내 영세기업들은 제품 출시 지연, 수익구조 악화 등의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국내 제네릭 의약품의 선전으로 잠시 주춤했던 국내 진출 다국적 제약업체들이 유리한 제도를 앞세워 시장 지배력을 키워나갈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비해 FTA 체결에 따른 관세 철폐는 국내 의약품 수출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으로 연구원은 우려했다.

국내 제약사 가운데 미국의 GMP(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업이 얼마 되지 않아 당장 수출 확대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다만 FTA를 통해 의약품 제도의 투명성과 제품의 경쟁력이 강조되면 제약사와 병.의원 간의 고질적인 불공정 거래 관행이 줄고 국내 제약산업의 구조조정과 연구.개발(R&D) 역량 강화 등 긍정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연구원은 기대했다.

고은지 책임연구원은 "국내 의약시장은 과거 미국의 협상 파트너였던 호주.싱가포르.바레인 등에 비해 규모가 크고 제약산업 활동도 활발하기 때문에 이 분야의 협상이 맹목적으로 미국 의견을 따르는 형태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 연구원은 그러나 "현재 국내 제약산업이 미국에 비해 절대적으로 취약하다"며 "정부는 업계의 요구 사안을 수렴해 국내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신호경 기자 shk999@yna.co.kr (서울=연합뉴스)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 [에너지 신문] 전력구조개편 수면 위 ‘급부상’ 노동조합 2006.09.11 2067
66 [서울경제 월요 초대석] 한준호 한국전력 사장 노동조합 2006.09.11 2173
65 [취재후기] 발전파업을 보면서 노동조합 2006.09.11 2356
64 [참세상] "산자부 발전노조 탄압에 직접 개입한 사실 드러나" 노동조합 2006.09.08 1875
63 [민중의소리] 산자부, 발전노조 탄압 직접개입 사실 드러나 노동조합 2006.09.08 1666
62 [오마이뉴스] "발전노조원들이 '씨XX, 개같은 놈'..." 노동조합 2006.09.07 3382
61 [레이버투데이] 발전파업 직권중재 ‘형평성’ 논란 노동조합 2006.09.05 2318
60 [연합뉴스] 발전노조 파업 꺼지지 않은 불씨들 노동조합 2006.09.05 2369
59 [민중의소리] '명분있는' 발전파업, '명분없는' 정부 노동조합 2006.09.05 2177
58 [민중의소리] 발전노조, 사측의 교섭제의에 파업중단 노동조합 2006.09.05 1976
57 [참세상] “직권중재가 파업을 불러왔다” 노동조합 2006.09.04 1820
56 [민중의소리] “발전파업 직권중재는 노동자에 대한 선전포고“ 노동조합 2006.09.04 1385
55 [문화일보] 포토뉴스-새벽파업 발전노조 휴식 노동조합 2006.09.04 1670
54 [연합뉴스] 발전노사 직권중재 회부 `논란' 노동조합 2006.09.04 1572
53 [국민일보] 발전노조 전면파업… 쟁점·전망 노동조합 2006.09.04 1536
52 [프레시안] 발전노조, 4일부터 파업…"전력대란 막자는 것" 노동조합 2006.09.04 1450
51 [오마이뉴스] "파업이 전력대란 일으킨다? 천만에" 노동조합 2006.09.04 1639
50 [서울신문] 발전노조 전면파업 노동조합 2006.09.04 1453
49 [YTN] 발전노조 4천명, 고대서 농성 노동조합 2006.09.04 1446
48 [YTN TV ] 발전노조 본격 농성 돌입 노동조합 2006.09.04 1471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