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성명서] 물/전기/가스/건강보험 사유화(민영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진심어린 반성과 철회를 촉구한다.

노동조합 2008.07.02 조회 수 2066 추천 수 0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성명서]



물/전기/가스/건강보험 사유화(민영화) 정책!

이명박 정부의 진심어린 반성과 철회를 촉구한다.




6월 18일, 어제 한나라당 수석정책조정위원장이 최근 당정협의를 통해 “전기 가스 수도 건강보험은 이명박 정부가 끝날 때까지 민영화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MBC 9시 뉴스에서는 이러한 발언에 대해 ‘민영화에 대한 괴담이 끊이지 않아 한나라당 차원에서 쐐기를 박겠다’라는 보도를 하였습니다.

광우병을 반대하는 민심이 이제 민영화를 반대하는 여론으로 급속히 번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많은 어머니들은 “소고기는 먹지 않으면 되지만, 물 전기 가스는 어떻게 하라는 거냐고” 걱정과 우려를 하십니다. 그러나 여전히 정부의 태도는 쇠귀에 경 읽기 입니다. 광우병 반대/민영화 반대를 외치던 민주시민들은 전기 가스 등 공공부문 노동자들의 직접적인 행동을 요구하고 있으며, 노동자들은 총파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나라당은 현 정부 임기 내 민영화를 강행하지 않겠다고 처음으로 발표했습니다.

진정으로 민영화 반대를 외치는 민심을 반영한 정책이며, 실효성 있는 민영화 반대 정책이라면 우리 공공부문 노동자들과 시민사회 단체는 적극적으로 환영할 것입니다. 그러나 말 바꾸기를 거듭하고 정책적 혼선과 아집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지난 3개월, 이명박 정부의 정책을 바라보면서 우리는 현 시점에서 한나라당 당정 논의 발표를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볼 수밖에 없습니다. 이명박 정부는 거짓된 말로 민심을 기만하는 구태의연한 태도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발표는 민주시민들의 지지 속에 파업을 통해서라도 광우병 소고기 수입을 막고 민영화를 막아야 한다는 공공부문 노동자들의 진정어린 투쟁을 막아보겠다는 “얕은 수”에 지나지 않습니다.

현재 전력산업은 오로지 민영화를 위해서 2001년 한국전력의 발전부문을 6개로 쪼개어 사장과 임원만 해도 수십 명으로 늘었습니다. 분할한 발전 회사간 경쟁으로 인해 석탄 수입 단가도 몇 배나 비싸졌습니다. 단기실적 경쟁에 눈먼 낙하산 경영진에 의해 자행된 설비 유지보수 소홀 등으로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나 영국처럼 전기민영화의 폐해가 증명된 나라에서 발전 부문에 사기업이 횡포를 부리면 요금인상을 위해 전기 공급 자체를 저울질하고 조작하는 사태가 발생합니다. 민영화 정책을 철회하려면 우선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부문 분할 경쟁 체제를 수직통합체제로 되돌려야 합니다. 또한 전력산업 민영화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된 “전력산업구조개편촉진에관한법률” 자체를 폐기하지 않는 한 전기 민영화 정책은 결코 중단된 것이 아닙니다.

가스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2400만 톤 이상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의 상황에서 포스코나 SK 같은 거대 재벌이 이제는 가스공사를 통해서가 아니라 2005년부터 LNG 직접 도입을 허용받고 있습니다. 이들 재벌은 가스 직접 도입을 통해 천문학적인 이윤을 남겼지만 오히려 인근지역(포항과 전남 등)의 도시가스 요금은 대폭 인상되었습니다. 심지어 GS 등 초국적 기업에게 대량의 LNG 도입 물량을 넘겨주겠다고 허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가스직도입이 확대되면 도시가스요금의 대폭적인 인상은 피할 수 없습니다. 그러기에 사기업이 가스를 직도입하고 있는 정책을 즉각 중단하고 이미 허용된 사기업 직도입 물량을 가스공사로 회수해야만 가스 민영화 정책이 중단되는 것입니다. 나아가 직도입으로 천문학적 이윤을 남긴 포스코와 SK의 초과이윤을 국민의 것으로 되돌리지 않는 한 가스 민영화 정책은 정부와 여당의 거짓 발표 속에 놀아날 수밖에 없습니다.

최근 물 민영화와 관련해서 환경부 장관은 “한국수자원공사와 지방자치단체가 맡고 있는 상수도사업을 하루빨리 민간에 위탁해 효율을 높여야 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상수도 광역화 방안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광역화 방안이 무엇일까요? 164개 지자체로 나눠 있는 상수도를 광역단위로 묶어서 재벌 기업과 초국적 자본이 사들이기 좋게, 소위 ‘상품성이 있게’ 묶어주겠다는 의도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물 민영화가 중단되었다는 사실을 어느 누가 믿을 수 있겠습니까? 말로만 하는 중단, 말로만 하는 철회를 우리는 결코 믿을 수가 없습니다.

이명박 정부는 물, 전기, 가스 민영화 정책 철회에 대한 실효성 있는 방안을, 국민들이 믿을 수 있는 방안을 내놓아야 합니다.. “전력산업구조개편촉진에관한법률” 철회, 분할된 6개 발전회사의 한전으로의 재통합, 재생가능에너지의 확대 및 지속가능한 에너지 정책 수립, 가스 직도입 관련 법안 철회, 사기업과 재벌 특혜인 가스 직도입 승인 물량 완전 폐지, 상수도 민간위탁 철회 및 광역화 방안 중단 등이 그것입니다.

지난 10년, 국민들의 가슴을 멍들게 했던 민영화 정책을 철회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 민영화를 촉진하고 실질화시키는 법안과 방안의 철회, 대통령의 대국민 직접 선언을 우리 공공부문 노동자들과 사회운동 단체들은 강력하게 요구합니다.


우리의 요구



1. 공공부문 민영화에 대해 대통령이 직접 대국민 선언을 하라!

2. 공공부문 민영화 정책 철회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라!

   - 전기, 가스, 물 등 기존 민영화 정책을 위한 각종 법안 폐기
  
3. 전기, 가스, 물 등 민영화를 추진했던 공공재를 원상회복하라!

   - 전력산업의 통합

   - 가스직도입 허용 물량 철회

   - 상수도 민간위탁 전면 중단




2008년 6월 19일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공공운수연맹공공노조환경에너지본부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에너지관리공단노동조합 에너지전환 청년환경센터 한전원자력연료노동조합 한국전력기술노동조합 공공노조한국가스공사지부 공공노조한국가스기술공사지부 한국발전산업노동조합 한국수력원자력노동조합 환경운동연합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 고려대 미화노동자들이 발전산업노조 노동자들께 드립니다 노동조합 2006.09.04 3123
36 [성명서] 산자부장관은 전 세계인을 기만하려 하는가? 노동조합 2006.09.20 3127
35 [전력연대] 발전파업 부추기며 전력대란을 몰아오고 있는 발전5사 규탄한다 노동조합 2006.09.02 3157
34 [성명서] 국민여러분, 발전노조는 파업을 원하지 않습니다! 노동조합 2006.09.03 3222
33 공공연맹 한미 FTA 신중론에 대한 공공공대위 성명서 노동조합 2006.05.17 3246
32 [성명서]적폐의 산물 서부발전 사장은 사퇴하라! 발전노조 2017.04.05 3253
31 [보도자료] 발전회사 통합 문제 사회 의제화 성과, 전력대란 고려, 파업중단 업무복귀 결정 노동조합 2006.09.05 3280
30 4월10일 전기뉴스 신문의 이준상 위원장 인터뷰 기사입니다. 노동조합 2006.04.10 3401
29 <성명서> ‘희망퇴직’을 가장한 ‘정리해고’, 강제퇴직 결사 반대한다! 노동조합 2009.02.23 3441
28 공공부문 노동조합 대표자 선언문 노동조합 2010.11.09 3544
27 [성명서]초국적 살인자본의 앞잡이 인베스트코리아 정동수 신임단장의 망언을 강력히 규탄한다! 노동조합 2006.02.10 4056
26 [성명서]지식경제부는 전력산업구조개편 현행유지 방침 걷어치우고 발전회사 통합하라! 노동조합 2010.11.09 4312
25 [성명서]중앙노동위원회 조정도 거부하는 사측의 작태에 분명한 책임을 묻겠다!! 노동조합 2010.11.09 4322
24 [성명서]공공기관에는 ‘돈벌이 성과’만 남기겠다는 성과연봉제 도입 저지하겠다. - (가) 공공운수노조 준비위 노동조합 2010.11.09 4444
23 [취임사]제5대 발전노조 박종옥위원장 취임사 노동조합 2010.11.09 4504
22 제주정전사고 관련 대국민 성명서(2006년 4월 26일 한계레, 경향신문 게재) 노동조합 2006.04.25 4709
21 [기념사]발전노조 창립 9주년 기념사 노동조합 2010.11.09 4902
20 2017년 위원장 새해인사 발전노조 2017.01.03 5045
19 [성명서]동서발전(주) 사장 직무대행 박희성은 당장 사퇴하라 발전노조 2017.06.14 5392
18 [성명서]발전회사 통합의 정당성을 인정하면서도 발전회사 통합이 아닌 미봉책만 펴는 지경부는 각성하라! 노동조합 2010.11.09 6084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