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무성 “노조 쇠파이프 없었다면 소득 3만불”…문재인 “아주 극우적”

국민 2015.09.03 조회 수 2061 추천 수 0

김무성 “노조 쇠파이프 없었다면 소득 3만불”…문재인 “아주 극우적”

등록 :2015-09-02 21:28수정 :2015-09-02 23:31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1일 오후 국회의사당 계단에서 여의도 국회 개관 40돌을 맞이해 국회의원 전원이 한자리에 모여 기념사진을 찍기에 앞서 각각 다른 곳을 바라보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1일 오후 국회의사당 계단에서 여의도 국회 개관 40돌을 맞이해 국회의원 전원이 한자리에 모여 기념사진을 찍기에 앞서 각각 다른 곳을 바라보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김 대표, 국회 대표 연설에서 ‘노조 때리기’
“후진적 지배구조 등 재벌 개혁” 언급도
연설 직후엔 경제 실정 노조 탓으로 돌려

문 대표 “참 걱정스럽다” 조목조목 비판
여당 안에서도 “청와대 코드 맞추기 급급”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2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교육감 직선제 폐지를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하고, 노동조합에 대한 적대적 시각을 여과 없이 드러냈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김 대표의 연설에 대해 “극우적·수구적 인식을 보여줬다”고 혹평했고, 여당 내부에서도 “청와대 코드 맞추기에 급급한 연설”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김 대표는 이날 연설에서 박근혜 정부가 주요 개혁과제로 꼽고 있는 4대 부문(노동·교육·공공·금융) 가운데 특히 노동시장 개편을 강조하며 “노동시장 양극화로 소득격차가 커지고 저소득층과 비정규직들의 고용불안과 생활불안이 가중되면서 국민 통합이 잘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전체 노동자의 10%에 불과한 (대기업) 노조가 파업을 일삼으면서 자기 밥그릇 챙기기에만 골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연설 직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대기업 강성 노조가 매년 불법파업을 일삼고 공권력이 투입되면 쇠파이프로 그 공권력을 두드려 팼다”며 “그런 불법 행위가 없었다면 우리나라가 (국민소득) 3만달러 수준을 넘겼을 것”이라고 경제정책 실패를 노조 탓으로 돌리는 듯한 발언을 했다.

김 대표는 연설에서 교육개혁과 관련해 교육감 직선제를 폐지시키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그는 “교육감에 따라 정책이 오락가락하면서 국론 분열과 국민 갈등의 원인이 되고 지역별 편향 교육이라는 결과를 낳았다”며 “국회 내 특위를 구성해 교육감 선출제도의 틀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교육감 선거에서 이른바 ‘진보 교육감’이 압승을 거두자 새누리당 일각에서는 교육감 선거 자체를 폐지하자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됐다.

김 대표는 역사교과서를 국정으로 바꾸겠다는 의지도 빼놓지 않았다. 그는 “자학의 역사관, 부정의 역사관은 이 땅에서 반드시 사라져야 한다. 편향된 역사관에 따른 교육으로 학생들이 혼란을 겪지 않도록 국정 역사교과서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이례적으로 재벌 개혁을 이야기하기도 했다. “4대 개혁이 성공하기 위해선 재벌 개혁도 병행돼야 한다”며 “후진적인 지배구조 등을 통해 불법적으로 부를 쌓는 재벌의 행위가 용납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방향성에 대해선 더는 언급이 없었다. “재벌 개혁이 반기업정책으로 변질돼선 안 된다”고 덧붙일 뿐이었다. 이와 함께 자신이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국민공천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과 관련해서는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에게 양당 대표 회담을 제안했다.

문재인 대표는 김 대표의 연설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문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김 대표가 여러 대목에서 아주 극우적이고 수구적인 인식을 보여줬다. 참 걱정스럽다”며 작심한 듯 날을 세웠다. 역사교육 관련 발언에 대해선 “일본 극우파 주장과 하나도 다를 바가 없다.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해야 한다는 주장도 거꾸로 가는 과거 독재정권 시절의 발상”이라고 일축했다.

다만 오픈프라이머리 도입과 관련해 여야 대표가 회담을 하자는 제안에 대해선 “언제든지 응하겠다”면서도 “(오픈프라이머리뿐 아니라)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지역구·비례대표 의석 배분 문제도 함께 (논의해) 타결해야 한다”고 역제안했다.

김 대표 연설에 대해 여당 내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한 초선의원은 “김 대표가 이야기한 노동·교육·공공·금융 개혁과 통일에 관한 내용은 모두 박근혜 정부가 강조해온 핵심 정책들로 ‘김무성표’ 의제는 문재인 대표에게 제안한 국민공천제, 단 하나뿐이었다”며 “여당 대표의 교섭단체 대표 연설로선 실망스런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한 수도권 의원도 “새로운 비전과 가치를 제시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김경욱 이세영 기자 dash@hani.co.kr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671 프랑스 노동자의 정치 1 LP TBN 2012.04.16 887 0
1670 서부노조 직권조인의 진실(1) 직권조인 2015.02.19 886 0
1669 [8월 2일 갑을오토텍 현장 투쟁 소식] 공장을 굳건히 지키고 있는 노동자들 “연대가 중요합니다” 노동자연대 2016.08.03 886 0
1668 [매일노동] 법원 "휴일근로도 연장근로" 입장 채택하나 매일 2012.03.29 885 0
1667 박근혜정권의 한국사회 구조개악 fortree 2015.07.23 885 0
1666 새누리당의 거국중립내각 제안은 '박근혜 살리기' 정치공작이다 민주노총 2016.10.31 885 0
1665 성명서 감명깊게 읽었습니다. a 2017.05.18 885 0
1664 민주노총 전현직 간부 노동자대통령 후보 김소연 지지 선언 3 노동자선본 2012.12.06 883 0
1663 "무너진 발전노조, 조직재건이 최우선" 인터뷰 2012.04.23 883 0
1662 분파주의자들(현투위, 노민추)의 과거 그들의 실체 4 현장 2012.01.02 882 0
1661 [경향신문] 지하철 해고자 13명 경력직으로 복직 경향 2012.03.29 882 0
1660 원전비리 근절 본격화 산업부 2015.02.23 881 0
1659 박근혜 퇴진을 너머 민생파탄의 고개를 넘어야 숲나무 2016.11.21 881 0
1658 한신이 평생 잊지 못했던 것! 1 하이로 2012.02.03 880 0
1657 “제헌의회 반민특위법을 모범 삼아 세월호 특별법을 제정해야합니다” 좌파노동자회 2014.09.12 880 0
1656 민주주의 사회와 그 적들 숲나무 2016.10.28 880 0
1655 세상이 바뀐다면 좋은일 많이 생길라나? 이번엔 2012.12.17 879 0
1654 국회의원 출신 성분과 한나라당 (정치와 노동조합 2) 제2발 2012.01.17 879 0
1653 태양광·풍력 과잉공급, 구조조정 불가피 에너지 2011.11.29 877 0
1652 세상을 바꾸는 단 한 가지 방법 2 동서 2012.02.04 876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