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도 방사능 오염 안전지역이 아니다

노동자 2012.04.04 조회 수 1104 추천 수 0

한국, 후쿠시마현 식품 100톤 이상 수입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지난해  원전 사고 이후 후쿠시마에서  생산된 식품이 총 190차례에 걸쳐 111.5톤 수입됐다. 수입현황을 보면 식품첨가물이 섞여있는 혼합제제가 44.2톤, 수산물가공품은 42.7톤이 수입됐다. 청주는 14.5톤에 달했다. 캔디류(3톤), 조미건어포류(2.2톤), 양념젓갈(1.4톤) 등도 수입됐다. 심지어 사고가 발생한지 채 한달이 되지 않은 3월에도 혼합제제 0.2톤이 수입됐다.
 
식약청은 일본산 수입식품에 대한 방사능 검사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방사능이 검출된 식품이 수입된 적은 없지만 사고 지역인 후쿠시마현에서 생산된 식품을 소비자들이 섭취한 셈이다.  그렇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후쿠시마현에서 생산된 모든 식품을 수입금지 하고 있고 방사능의 경우 수십년의 시간을 두고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점에서 `안전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그러나 식약청은 원전 사고 이후 일본이 출하를 제한 품목에 대해서만 수입을 중단하고 있다. 현재 7개현 20개 품목에 대해 수입을 중단한 상태다. 정부는 일본에서 수입되는 모든 식품에 대해 방사능 검사를 강화했지만 수입 단계에서 방사능 검사는 일부 샘플을 채취해 하기 때문에 방사능에 오염된 식품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없다.

일부 국가에서는 후쿠시마현에서 생산된 모든 식품을 금지하거나, 일본산 식품 모두를 금지하기도 한다. 중국의 경우 후쿠시마현을 포함한 10개 현에서 생산되는 모든 식품에 대해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러시아와 대만은 후쿠시마를 비롯한 5~6개 현에서 생산되는 모든 식품에 대해 수입을 정지했다. 쿠웨이트는 일본산 식품 전체에 대해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일본 정부와의 통상 마찰을 우려해 수입 제한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며 수입제한을 하는 경우는 대부분 일본이 출하를 중단한 후에 나온 조치다. 수입된 식품이 어떤 경로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먹는지 알 수 없어서 여전히 불안하다.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국장은 일본산 수입식품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모든 제품이 안전하다고 장담할 수 없다면서 방사능 오염 가능성이 높은 지역의 식품에 대해서는 수입을 차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  원전사고 지역출신 왕따현상

 

다른 지역으로 전학한 후쿠시마 아이들은 방사능이 전염된다며 왕따를 당하는 게 현실이에요. 결혼을 앞둔 여성은 후쿠시마 출신이라는 이유로 결혼을 취소당했다. 후쿠시마 주민 니시카타 카나코씨는 이같이 털어놓으며 살아남은 사람들의 아픔을 전했다. 

 

후쿠시마 원전 반경 50㎞ 에서 생활했던 카나코씨는 정부의 보호소에 거주하다 두 아이를 데리고 도쿄로 이사한 상태다. 그러나 자동차 번호판에 쓰여 있는 후쿠시마 명칭때문에 주유소에서는 진입을,  식당에서는 주차 거부를 당했다.

그녀는 이 모든 게 일본정부에 대한 불신 때문이라고 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정한 일반인의 피폭한도는 기존 1mSv(밀리시버트). 일본 정부는 사고 직후 기준을 10mSv로 올렸고 후쿠시마 주변지역에서 10mSv를 초과하는 방산성량이 측정되자 다시 20mSv로 상향 조정하였다. 여기에 20년간 체르노빌 피폭자를 치료하며 명성을 얻은 나가사키대학의 야마시타 준이치 교수까지 공개석상에 나서 “임산부를 포함해 100mSv까지 안전하다”고 국민을 안심시켜온 것이 화근이 됐다.
사고 원전과 30㎞ 떨어진 곳에서 귀 없는 토끼가 태어나고 2세 가축의 기형이 발견되자 국민들은 술렁이기 시작했다.
 

일본 채소 방사능 기준치는 1000Bq(배크렐), 달걀은 500Bq, 우유는 200Bq이다. 카나코씨는 이 기준은 핵전쟁으로 먹을 게 존재하지 않아 살아남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선택하는 기준이라며 이런데도 정부는 안전하다고 안심시키기에 분주하다고 지적했다.

 

 

한국도 안전하지 않다.

 

주부 김모씨는 세 살난 딸아이의 어린이집 준비물을 구입했다.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가 그려진 칫솔과 물컵을 구입한 김씨는 제품에 쓰인 'made in Japan'이란 글씨를 보는 순간 멈칫했다. 혹여 방사능에 오염되지 않았을까 찜찜해하던 김 씨는마트로 되돌아가 한국산 제품으로 교환했다. 

 

방사능 오염에 대한 우리나라 시민들의 경계심은 상당히 높아졌다. 실제로 국내 생활용품이나 식품에서 이상 수준의 방사선수치가 검출됐다는 소식이 종종 전해졌고, 급기야는 방사능 측정기를 개별적으로 구입해 측정하는 사람들도 생겨났다. 그러나 정부는 이상할 정도로 안전하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

 

후쿠시마현 등 주변 지역에선 시금치와 우유 등에서 방사선이 검출됐다는 소식이 잇따랐다. 당시 이바라키현에서 재배한 시금치에선 잠정 기준치의 27배에 이르는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됐고, 이후 수돗물과 축산물 등에서도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는 보도가 줄을 이었다.

1년이 지났지만 해당 지역의 식품에선 여전히 높은 수치의 방사선이 측정된다. 그린피스가 최근 원전 주변지역에서 재배되는 채소의 방사선 수치를 측정하자 1년 노출량의 10배가 검출됐다.

 

우리나라도 방사능의 위험에서 자유롭진 못하다. 노원구 월계동 주택가의 한 도로에선 지나치게 높은 수준의 방사선이 검출됐고 지난 1월엔 마트에서 판매하던 접시꽂이에서 이상 수준의 방사선이 검출됐다.  수산물의 경우에는 방사능 물질 검출이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최근 두 달간 냉동명태와 고등어 등 수산물에서 세슘이 검출된 사례는 32건으로 이전 9개월간 21건이 집계된 데 비해 크게 늘었다. 이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 바다에 유출된 방사능 물질의 양이 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김익중 동국대 의대 교수는 유럽에선 일본산 식품 수입을 금지시켰는데 우리는 아무런 조치 없이 전부 수입하고 있다며칠 전에도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구입한 일본산 생태에서 세슘이 검출됐다. 환경단체에선 정부가 이처럼 정보를 통제하는 것은 원전을 계속 짓기 위해서라고 보고 있다. 정부는 방사능에 대해 대단히 폐쇄적으로 정보를 통제하고 있으고 안전하다고 말한다.

 

정부에 대한 불신은 행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연일 광화문 광장에서 탈핵을 주장하는 1인시위 등을 벌이고 있으며 시민단체 차일드세이브는 최근 학교급식 개정 제안서를 교육과학기술부와 일선 학교에 보냈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951 인수위, 전력산업 구조 개편…한전 분할해 판매시장 경쟁전환 머니 2013.01.14 3890 0
2950 “헉, 충격이네” ‘대기업 전력사냥꾼’ 영상 화제 최근동향 2013.01.14 2892 0
2949 동일노동에 동일임금과 동일 노동조건 노동자 2013.01.15 2861 0
2948 역사 곰곰히 다시보기(부마 민주 항쟁) 유튜브 역사맨 2013.01.15 1581 0
2947 5.18 역사보기 유투브(광주민주화 운동) 똑바로 2013.01.15 10064 0
2946 소득격차가 무려 12배에 달한다 노동자 2013.01.16 4248 0
2945 전력판매 경쟁 당장은 힘들다 전기신문 2013.01.17 1389 0
2944 전력시장 정산 상한가격 도입 진통, 운영규칙 개정협의회 다시 연기 전기신문 2013.01.18 2113 0
2943 1인당 국민소득의 실질적인 분배 실현을 위해 노동자 2013.01.21 1189 0
2942 화력 대기업 대거 진출 흑기사 2013.01.21 1396 0
2941 이윤경쟁에 후퇴하는 노동조건 노동자 2013.01.22 1180 0
2940 전력산업에 대한 경쟁정책(KDI 연구보고서 2012-02)를 읽고001 이상봉 2013.01.22 1631 0
2939 전력산업에 대한 경쟁정책(KDI 연구보고서 2012-02)를 읽고002 1 이상봉 2013.01.22 1902 0
2938 슬픈약속(뮤비 동영상 역사알기) 여린마음 2013.01.22 1339 0
2937 경찰이 남아공 군인노조 시위를 해산시키고 있다 노동자 2013.01.23 3883 0
2936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시 투명하고 공개적인 논의 필요 전기신문 2013.01.24 1433 0
2935 유럽 군인노조와 시지포스 노동을 극복하기 노동자 2013.01.24 5633 0
2934 화력발전사업자 선정 재심의, 2월초 공청회 거쳐 최종 확정 전기신문 2013.01.25 1339 0
2933 격주간 정치신문 사노위 44호가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사노위 2013.01.27 1163 0
2932 노동조합 조직률 확대 추이와 한계 노동자 2013.01.28 8183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