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민들의 '여가 있는 삶' 보장위한 법적근거 마련

부러운 삶 2015.04.30 조회 수 833 추천 수 0
1324386_article_99_20150430170207.jpg?ty홍천군 서면 배바위카누마을에서 카누를 즐기는 모습. © News1

문체부, '국민여가활성화기본법' 30일 국회통과

(서울 = 뉴스) 박창욱 기자 = 국민들의 ‘여가가 있는 삶’을 보장하기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는 ‘문화융성’ 실현의 제도적 기반으로서 국민의 쉴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국민여가활성화기본법' 제정안이 3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국민여가활성화기본법'은 여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일과 여가의 균형을 통해 국민들이 ‘여가가 있는 삶’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정됐다.

이번 제정안은 총 17개 조항이다. 우선 국민이 적절한 수준의 여가를 보장받을 권리와 이를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여가 증진을 위한 정책 수립 책무를 규정했다.

또 범정부 차원의 여가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기본계획 수립, 국민의 여가 환경과 수요에 대한 조사·연구, 여가프로그램 개발·보급, 여가시설과 공간의 확충, 여가산업 육성 등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아울러 자유로운 여가 환경을 위해 노력하는 단체와 개인에 대한 지원, 직원들의 여가를 장려하는 우수 기업과 공공기관에 대한 시상 등을 주요 내용으로 반영하고 있다.

그동안 우리 사회는 국민소득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장 노동시간, 국민 행복수준 저하 등의 문제가 나타나면서 일과 여가의 균형을 통한 개인의 삶의 질 향상, 국가 생산성 향상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번에 '국민여가활성화기본법' 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여가’의 영역이 중요한 정책적 과제로 인식되고, 여가 정책의 방향을 명확하고 종합적으로 설정하게 됐다.

동시에 여가프로그램 및 시설 확충, 전문인력 양성 등 정책 사업들을 더욱 탄력 있게 추진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는 데에서 이번 법률 제정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문체부는 설명했다. '국민여가활성화기본법'은 공포된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된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930 동서에서 시행한 드래프트제 갑자기 생각나네? 드래프트제 동서조합짱 2012.02.07 1080 0
1929 중앙집행위원의 기능은 유지되어야 한다 2 학암포 2012.02.07 795 0
1928 ★★★ 기대하시라 개봉박두 ★★★ 1 역전승 2012.02.07 975 0
1927 한전에서 떨어지는 낙하산을 반대한다! 사장들도 각성하라! 5 발전본사 2012.02.07 1322 0
1926 즉시 박종옥 집행부 일동을 사법 조치하고 제명하여야 한다 15 이상봉 2012.02.07 1338 0
1925 터키원전수출, 다시 되살아난 ‘불씨’ 조합원 2012.02.07 743 0
1924 중앙집행부 직무를 대리하고 있는고 주장하는 동지들에게 드립니다. 규약을 개정하려고 한다면 최소한 의견 수렴을 하시고, 현장의 의견이 있으면 뭐라 말씀을 좀해주세요!! 필독 적극찬성 다시쓰기 2012.02.07 753 0
1923 제41차 중앙위 속개 해야죠? 3 조합원 2012.02.07 808 0
1922 노동조합의 정책활동 2 (고용, 구조개편, 악법) 제2발 2012.02.07 896 0
1921 중앙집행위원(실장) 권한과 기능은 살아있다 7 학암포 2012.02.07 768 0
1920 업무비협조 18일차, 업무방해 5일차 박종옥 전 위원장 9 조합원 2012.02.06 921 0
1919 발전노조 직무대행은 답하라! (아니, 신현규씨가 답하던가?) 2 찬성이 2012.02.06 1117 0
1918 지식경제부의 주먹구구식 역량평가(발전회사 관리·기술본부장 줄 검증) 1 발전노동자 2012.02.06 1729 0
1917 노동조합의 정책활동 1 1 제2발 2012.02.06 763 0
1916 부러진 화살! 1 하이로 2012.02.06 795 0
1915 쌍용차 3차 포위의 날! 희망텐트촌 2012.02.06 757 0
1914 今日의명언‡ 하수근 2012.02.05 781 0
1913 평생 갈 내 사람을 남겨라a‡ cgost 2012.02.05 1695 0
1912 세상을 바꾸는 단 한 가지 방법 2 동서 2012.02.04 876 0
1911 박종옥 전 집행부는 정말 발전노조를 깨려고 작정했는가? 5 조합원 2012.02.03 1222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