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황, 신도와 사제들 적극적인 정치 참여 주문

경향 2013.11.28 조회 수 3603 추천 수 0
“통제 안 받는 자본주의, 새로운 독재일 뿐” 교황 ‘사제로서의 훈계’ 공개 정유진 기자 sogun77@kyunghyang.com  
  • ㆍ적극적인 현실 참여 주문도

    교황 프란치스코(77)가 “통제받지 않는 자본주의는 ‘새로운 독재’ ”라고 강한 어조로 비판하면서 전 세계 정치 지도자들은 경제적 불평등을 없애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가톨릭 사제와 신도들에게도 “사회통합과 인권·시민권을 둘러싼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역할을 다해야 한다”며 적극적인 사회 참여를 당부했다.

    교황은 지난 3월 취임 이후 이제까지 자신이 연설하거나 지적한 내용을 모아 저술한 ‘사제로서의 훈계’를 26일(현지시간) 공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교황의 직접적인 강령이라고 할 수 있는 이 문서에서 그는 전임 교황들의 학문적인 내용과는 확연히 다른 목소리를 냈다. 아르헨티나 출신인 프란치스코 교황은 1300년 만의 첫 비유럽 지역 출신이다.

    l_2013112801004382000332421.jpg
     

    교황은 “동시대 현실을 분석하는 것은 사실 교황의 책무가 아니지만, 돌이킬 수 없는 비인간성의 시대로 접어드는 상황에서 이는 우리 모두의 중요한 책무”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교황은 내용의 상당 부분을 자본주의의 탐욕과 이 때문에 확대되고 있는 경제적 불평등을 비판하는 데 할애했다. 그는 “ ‘살인하지 말라’는 십계명을 현 시대에 맞게 고쳐 말하면 ‘경제적 살인(경제적으로 누군가를 배제하거나 소외시키는 것)을 하지 말라’가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어떻게 주가 지수가 2포인트 하락하는 것은 뉴스가 되는데, 홈리스 노인이 거리에서 죽어가는 것은 뉴스거리도 되지 않을 수 있단 말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많은 사람들이 자기 자신을 쓰고 버려지는 ‘소비재’라 여기고 있지만, 심지어 이제는 쓰이지도 않은 채 그냥 ‘찌꺼기’처럼 버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교황은 “경제권력을 휘두르는 사람들은 아직도 부유층의 투자·소비 증가가 저소득층의 소득 증대로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낙수효과’를 말하고 있지만, 이는 잔인하고 순진한 믿음”이라며 “가난한 사람들은 (그 낙수가 내려오지 않을지도 모르는데) 언제까지나 기다리고만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상황에서 통제받지 않는 자본이 ‘새로운 독재자’로 잉태되고 있다”면서 “이 독재자는 무자비하게 자신의 법칙만을 따를 것을 강요하며, 윤리와 심지어 인간마저도 비생산적인 것으로 취급한다”고 지적했다.

    교황은 정치 지도자들과 가톨릭 사제들이 사회의 부조리와 불평등을 바로잡기 위해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정치 지도자들이 ‘가난한 자와 부를 나누지 않는 것은 그들이 마땅히 가져야 할 것을 도둑질하는 것’이란 옛 성인들의 말을 되새기길 바란다”고 말했다.

    가톨릭 사제들에게도 적극적인 현실 참여를 주문했다. 그는 “아직도 가톨릭 교회는 많은 이들로부터 신뢰와 지지를 받는 기관”이라며 “교회는 사회통합과 인권·시민권을 둘러싼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해결책을 찾아내는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조직의 안위에만 치중하는 교회가 돼서는 안된다”면서 “교회는 말과 행동을 통해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개입해야 하며, 필요하다면 신발에 거리의 진흙을 묻힐 수도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나는 교회가 좀 더 깨지고 상처 입고 더러워지기를 원한다”고도 했다.

    교황이 사제의 현실 참여를 강조한 것은 이번만이 아니다. 지난 7월에도 브라질에서 “교회도 거리로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고, 지난 9월 미사 강론에서는 “정치인들이 더 잘 통치할 수 있도록 사제들도 능력 닿는 대로 최대한 정치에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2개의 댓글

Profile
사제복입은 리철진
2013.11.28

교황님 말씀은 억압받는 북한 사람들의 인권과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현실정치에 참여하라는 이야기지 거짓 사실로 대한민국 국민을 기망하는

사제가 되라는 애기가 아니지 않소? 

Profile
울산복합
2013.11.28

발전노조 게시판에도 댓글 알바들이 엄청설치는구나...

다른곳이 아니고 정부나 여당, 박근혜를 비판하는 논조의 글이 올라오면 바로

국정원의 댓글과 같은유형의 성향의 글리 달리는걸 보니 ㅎㅎㅎ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151 한전-전력관계자 수고가 많습니다" 한전 2012.09.03 1234 0
3150 연봉제에 대해 7 현장 2012.09.03 1415 0
3149 발전노동자 26호 소식지를 보고 질문??? 2 조합원 2012.09.03 1034 0
3148 남부역량평가 2 다시시작 2012.09.04 1246 0
3147 "자본"을 읽어야 하는 이유 조운찬 2012.09.04 858 0
3146 굴욕적인 중부노조의 고백 4 개보기 2012.09.04 1626 0
3145 87년 노동자대투쟁 25주년 기념강좌 노동자교육센터 2012.09.04 817 0
3144 5조3교대제로의 근무 형태 변경과 정년연장 제도 도입을 제안하며 10 이상봉 2012.03.11 2861 0
3143 동서발전과 이마트 동서 2013.03.15 2665 0
3142 [인권연대 기획강좌] 역사의 광해군, 영화의 광해 - 사실과 상상 사이 인권연대 2013.03.15 2090 0
3141 [최고위원후보] 중단없는 혁신! 이홍우가 하겠습니다! 이홍우혁신선본 2012.06.26 816 0
3140 건설노조 무기한 총파업 돌입, 미국 사회불평등 100년만에 최고 노동과정치 2012.06.27 947 0
3139 [성명] 물류를 멈춰 세상을 바꾸자! 화물연대의 총파업투쟁을 지지한다 사노위 2012.06.27 1362 0
3138 임금차액소송 1 임금차액소송 2012.06.27 1674 0
3137 송유나님의 "전력산업 민영화현황 - 민자발전시장의 급성장" 을 읽고 1 이상봉 2012.06.27 1556 0
3136 복수노조 1년, 교묘한 탄압 (발전노조 관련기사) 5 경향 2012.07.02 1659 0
3135 남부기업노조 분열 시작(남부노조게시판 펌) 6 드디어 2012.07.02 2214 0
3134 인물과 노동조합 1 (스파르타쿠스) 제2발 2012.03.12 998 0
3133 진보신당과 사회당이 진보좌파정당으로 통합하다 노동자 2012.03.12 815 0
3132 인물과 노동조합 2 (토마스 뮌쩌) 제2발 2012.03.13 842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