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날치기' 제6차 전력수급계획 재검토 해야

경향 2013.02.26 조회 수 1439 추천 수 0
새 정부 출범을 3일 앞둔 지난 22일 지식경제부가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확정·발표했다. 지난 7일 공청회를 통해 공개한 것과 별반 다를 바 없는 내용이다.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맞춰 화력발전소 18개 건설을 새로 추진하고 원자력발전소 추가 건설 여부는 결정을 유보한 것이 골자라고 할 수 있다. 국민여론은 물론 다른 부처의 의견, 나아가서 새 정부의 국정 기조까지 무시한 ‘지경부만의 계획’이자 ‘날치기 확정 발표’라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울 것 같다.

무엇보다 이번 계획이 이명박 정부가 국제사회에 천명하고 새 정부도 이행을 약속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고려했는지 극히 의심스럽다. 전력시장 민영화 우려와 대기업 특혜 시비, 지역 주민과 시민·환경단체의 반발 등도 제대로 해소하지 못했다. ‘창조경제를 뒷받침하는 중장기 에너지 수급 전략을 새로 수립한다’는 박근혜 정부의 정책 방향과도 어긋나는 부분이 보인다. 공청회와 국회 논의 과정에서 문제가 됐던 조력발전 사업의 경우 인천만·아산만은 일단 보류하고 가로림·강화를 슬그머니 끼워넣은 것도 이상하다. 바다의 가치를 중시해 해양수산부를 부활한 새 정부에 대한 ‘압박’처럼 보이기까지 한다.

천신만고 끝에 해를 넘겨 발표한 지경부의 사정이 있겠지만 이번 계획은 재검토될 수밖에 없는 내용투성이다. 박 대통령도 “국민 여론을 수렴해 향후 20년간의 전원 믹스를 원점에서 재설정하고, 추가로 계획한 원전은 다른 에너지원이 확보된다는 전제하에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올해 국가의 장기적인 에너지 계획인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수립도 예정돼 있다. 상부 계획이 권력 공백기에 발표한 하부 계획에 종속되는 사태가 벌어질까 우려된다. 실행 과정에서도 많은 반대와 논란이 예상된다. 새 정부는 이런 여러 가지 문제를 감안해 대통령의 말대로 에너지 계획을 원점에서 재수립하기 바란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051 남부노조의 선택 6 남부 2012.07.26 6300 0
3050 인물과 노동조합 5 ( 레닌 2 ) 제2발 2012.03.20 869 0
3049 원자력마피아들 (정부, 학계, 한수원, 건설업자, 규제기관) 노동자 2012.03.20 825 0
3048 수명이 만료된 핵발전소 폐기하자! 녹색당 2012.03.20 817 0
3047 인물과 노동조합 6 ( 그람시 2 ) 제2발 2012.03.22 906 0
3046 희생자 구제심사위원회는 언제 심사위 2012.03.20 767 0
3045 보령과 관련된 발전노조 성명서를 보고..... 3 보령 2012.03.20 1678 0
3044 인물과 노동조합 6 ( 그람시 1 ) 제2발 2012.03.21 793 0
3043 수요관리 중심으로 전력정책을 바꿔야 1 노동자 2012.03.21 714 0
3042 통합진보당 이정희, 윤원석, 정진후 사퇴해야 진보신당 2012.03.21 1040 0
3041 고리원전 운영일지도 조작, 사고은폐도 체질화 노동자 2012.03.22 864 0
3040 고리, 보령발전 사고는 공기업선진화의 결과 노동자 2012.03.23 1437 0
3039 다시 정몽준에게 승리할 것인가 ? 김순자 2012.03.23 917 0
3038 남동 1,2직급 발령 발령남동 2013.05.03 3352 0
3037 전력그룹사, 기관장 거취 '초미관심' 1 시사인 2013.05.03 3731 0
3036 매일노동뉴스 메인 반대 2013.03.29 2389 0
3035 공기업 정책연대(의장 김주영) ㅋㅋ 1 니들이 2013.03.29 3147 0
3034 한전 통합이냐? 분할 경쟁이냐? 1 전기신문 2013.04.01 4415 0
3033 경 선봉 서부 발전.!! 축 서부 2013.03.28 2427 0
3032 전시 작전통제권과 자주성 숲나무 2013.07.30 2953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