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우리가 바라는 경제민주화

강수돌 2012.07.13 조회 수 2417 추천 수 0
[경제와 세상]우리가 바라는 경제민주화
강수돌 | 고려대 교수·경영학
 
대한민국 헌법 119조엔 ‘대한민국의 경제질서는 개인과 기업의 경제상의 자유와 창의를 존중함을 기본으로 한다’라는 조항과 ‘국가는 균형있는 국민경제의 성장 및 안정과 적정한 소득의 분배를 유지하고, 시장의 지배와 경제력의 남용을 방지하며, 경제주체간의 조화를 통한 경제의 민주화를 위하여 경제에 관한 규제와 조정을 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바로 이 부분이 최근 한국 사회를 달구고 있는 ‘경제 민주화’ 논란의 근거다.

지식인 사회의 일각에서는 또다시 분배냐 성장이냐, 복지국가냐 재벌해체냐 등 강조점에 따라 다양한 논의가 일고 있다. 내가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그러한 경제민주화 논의가 일하는 사람들의 일상적 삶에 구체적으로 와 닿아야 한다는 점이다. 일례로, 직장인의 90%는 불만족스러워 사표를 내고 싶어도 구직난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현재 직장에서 묵묵히 일해야 한다. 업무 부담도 크지만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권위주의적인 상사나 버릇없는 부하 등 인간관계 문제로 스트레스를 크게 받고 있다.

 
또 한국을 대표한 기업 중 하나인 현대자동차 도장 공정에서 일하는 어느 노동자는 금요일 밤 9시부터 일을 시작해 일요일 오후 5시에 퇴근하는 등 주말에도 연속 44시간 노동을 한다는 충격적 보고도 있다. 지금도 재능교육, 콜트콜텍, 코오롱, 쌍용차, 한진중, 현대차 등에서 수많은 노동자들이 부당해고 철회, 정리해고 반대 및 비정규직 철폐를 외치며 외로운 싸움을 하고 있다. 이 모든 사태는 노동하는 사람들이 행복한 삶을 위해 즐겁게 노동하기보다 기업에 노동력을 최대한 제공하기 위해 자신의 삶을 억압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기업의 돈벌이를 위해 개인의 자유와 창의가 무시되는, 주객전도된 현실이다.

그렇다. 현실이 뭔가 잘못되었다는 것은 초등학교 아이도 다 안다. 어느 초등생은 최근에 재산이 몇 푼 안 된다면서도 커다란 집에 살고 수많은 기부금을 내며 심지어 육사생도들로부터 사열까지 받는 현실이 이상하다는 시를 써 주목을 끌기도 한다. “우리 동네 사시는 29만원 할아버지, 맨날 29만원밖에 없다고 하시면서 어떻게 그렇게 큰 집에 사시나요?”

이런 현실 속에서 노동자들이 바라는 경제 민주화란 이런 것이다. 시키는 대로 일만 하는 ‘임금 노예’가 아니라 일을 통해 삶의 보람을 느끼는 즐거운 직장, 열심히 일한 죄밖에 없는데도기업이 어려우면 ‘정리’ 대상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모두 일하되 조금씩’ 일할 수 있는 신바람 나는 직장, 자신의 꿈을 찾아 공부하고 취업한 뒤엔 자아실현과 사회헌신을 동시에 이룬다는 느낌이 드는 직장, 이런 것이다. 그렇게 되면 ‘적정한 소득 분배’ 및 ‘경제 주체간의 조화와 균형’이 달성될 것이며, ‘시장의 지배와 경제력의 남용’도 방지될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내용을 담은 경제 민주화가 착실히 구현되면 아이들에게 일제고사를 통해 점수 경쟁을 유도하는 반교육적인 행정도 불필요하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지금과 같은 시험 제도나 평가 제도는 오로지 상층의 10%만을 위한 것이라, 갈수록 사회 양극화에만 일조할 것이기 때문이다. 빈부 양극화는 교육 양극화를 유도하고 이는 다시금 빈부 양극화를 증폭시킨다. 경제 민주화는 이런 면에서 교육 민주화와도 연관이 크다.

제발 수백만 10대 청소년들이 자신만의 꿈을 신나게 키울 수 있도록, 그리하여 진정으로 자유와 창의를 존중하고 누릴 수 있도록 학교나 기업 풍토를 전면적으로 쇄신해야 한다. 기존의 위계적, 권위적, 독재적 방식이 아니라 원탁형, 민주형, 소통형 방식으로 학교, 기업, 사회를 온통 바꾸어야 한다. 더 이상 경제 성장률 경쟁이 아니라 경제 민주화 투쟁이, 더 이상 일제고사 식 점수 경쟁이 아니라 자유와 창의를 존중하는 맞춤형 교육 투쟁이 절실한 까닭이다. 매일 일자리 스트레스로 고통받는 직장인들, 매일 학업 스트레스로 고통받는 청소년들, 매일 생활 스트레스로 고통받는 여성들, 이 모두는 같은 뿌리의 고통을 함께 겪고 있다. 학생, 노동자, 여성들이 소통과 연대를 강화해야 할 이유다. 소통과 연대만이 희망이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030 기식아공부쫌 해라 복지 축소는 무신 3 아시바리 2013.03.27 2564 0
3029 인천 서구 민중의 집 개소식에 초대합니다. 1 서구민중의집 2013.04.18 4018 0
3028 보너스도 통상임금"…줄소송에 재계 반발 2 약오르지용.. 2013.04.19 5181 0
3027 노동자 생명보다 더 중한 것이 내부평가? 4 조합원 2013.04.15 2880 0
3026 서부 노조 대단하다.. 1 서부 2013.03.30 2878 0
3025 전력그룹사, 인턴채용 늘려 시사인 2013.05.03 3320 0
3024 정년연장 3 낙동강 2013.05.03 3482 0
3023 다가오는 전력난... 인턴에게 발전소 맡긴 남부발전 2 민중의 소리 2013.04.17 4449 0
3022 전력판매 경쟁도입 논의 재개되나? 2 전기신문 2013.04.01 1870 0
3021 퇴직금 중간정산은 어찌 되어가고 있습니까???? 회사별로 어떻게 진행되어 가는지 답변바랍니다..정말 목이 빠질라고 기다리는 안사람때문에 속이 탑니다..장난사절 욕사절입니다..중앙답변을 기다립니다 5 발전조합원 2012.07.08 2190 0
3020 민주노총 탈퇴 무효 판결, 그리스의 대규모 사유화, 인천공항 급유시설 매각 추진 노동과정치 2012.07.09 2181 0
3019 이것을 중앙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13 고전 2012.07.26 3942 0
3018 동서에서 아웅하는 사이에... 이런일이 11 당발이 2012.11.15 2852 0
3017 당진 서차교 이메일 11 서차교 2012.11.14 2238 0
3016 남동, 장려금 계산 기준일 변경 소급지급 7 남동 2012.07.13 2367 0
우리가 바라는 경제민주화 강수돌 2012.07.13 2417 0
3014 2011년도 발전사 임금인상 결과에 대해 모든 노동조합 집행부는 원인파악과 사과 그리고 향후 대책을 발표하라 8 이상봉 2012.07.18 3143 0
3013 닭대가리 이명박 새끼들..돈만 해 쳐먹고, 날아 말아 먹을 놈들... 하하2 2012.07.18 1554 0
3012 초간합격자 1 초간 2012.03.24 1996 0
3011 청소노동자 김순자의 빵과 장미 청소노동자 2012.03.24 943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