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노동조합 조직률 확대 추이와 한계

노동자 2013.01.28 조회 수 8183 추천 수 0

6 [노동조합 조직률]

 

 

노조조직률및조합원수추이.jpg

 

노동부가 발행하는 2011. 11월 노동조합 조직현황에 의하면 2010년 노동조합 조직률은 9.8%이고 약 160만 명에 불과하다. 이것도 1987년 노동자 대투쟁으로 폭발적인 노동조합 조직률을 기록한 1989년 19.8%에 비하면 조직률은 반 토막 났다. 부문별 조직률을 보면 공무원 58%, 교원이 18.9%로 민간부문 8.6%보다 훨씬 높다.

 

1987년 노동조합 설립이 폭발적으로 일어난 이후에 인구증가에 비해 노동조합 설립은 정체상태에서 자연감소로 약 20년 사이에 30만 명 정도의 조합원이 줄어들었다. 87년 노동자 대투쟁은 사회민주화 요구와 동시에 노동자들의 권리 요구가 겹쳐서 노동조합을 조직하는데 유리한 국면이었으나 97년 노동자 투쟁은 정치 민주화가 이미 진전된 상태에서 자본가들의 공격에 노동자들이 대응적 성격의 방어투쟁으로 노동조합 조직률을 확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더구나 지난 15년간 자본의 신자유주의 노동유연화로 비정규직 노동자가 양산되었고, 이 들이 취업하는 곳도 대개는 기존 회사에서 외주화로 만들어진 하청·용역업체들이다. 이들 업체들은 노동조합 설립 자체를 막을 뿐만 아니라 업체의 수명도 짧아 노동조합을 조직하고 유지하기가 더욱 어렵다. 노동조합에서 산별노조로 전환하여 이들을 흡수하려고 조직 형식은 갖추었지만 비정규직 노동자 조직에는 좀처럼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의 산별노조 대부분은 과거 정규직노동자들의 기업별 노동조합 연합체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하고 있다. 또한 산별노조를 건설할 때도 노동조합 지도부는 정치투쟁은 정당이, 경제투쟁은 노동조합이라는 이분법적 구도아래 산별노조를 구상하고 추진하여 자본가 정권이 깔아놓은 궤도대로 나아갔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71 서울교통공사노조, 30일 총파업에 돌입 숲나무 2022.11.30 12 0
70 오늘도 살아 돌아오기, 왜 안전운임제인가? 숲나무 2022.12.01 12 0
69 노조활동 했는데 과징금 20억? 윤석열 정부의 노동탄압 숲나무 2022.12.18 12 0
68 민주노총은 한국 민주주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이다. 숲나무 2023.01.27 12 0
67 초대! 『우리는 당신들이 불태우지 못한 마녀의 후손들이다』 출간 기념 집담회 (2023년 4월 30일 일 오후 2시) 도서출판갈무리 2023.04.28 12 0
66 공공부문 파업과 노동자의 자유 숲나무 2022.11.28 12 0
65 화물주와 운송업체가 화물차를 직접... 숲나무 2022.11.30 12 0
64 새 책! 『사변적 실재론 입문』 그레이엄 하먼 지음, 김효진 옮김 1 도서출판갈무리 2023.01.23 12 0
63 독일에서 무기 지원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 숲나무 2023.02.26 12 0
62 [서부발전본사 복직투쟁, 10.19(목)] 25주54일차 숲나무 2023.10.20 12 0
61 일교차가 큽니다. 건강 조삼하세요 구영식 2023.10.23 12 0
60 [서부발전본사 복직투쟁, 11.1(수)] 27주59일차 숲나무 2023.11.01 12 0
59 [서부발전본사 복직투쟁, 11.14(화)] 29주64일차 숲나무 2023.11.14 12 0
58 [서부발전본사 복직투쟁, 11.14(화)] 29주64일차 숲나무 2023.11.15 12 0
57 [서부발전본사 복직투쟁, 11.22(수)] 30주67일차 숲나무 2023.11.22 12 0
56 초대! 『대담』 출간 기념 신지영 역자와의 만남 (2024년 1월 13일 토 오후 2시) 도서출판갈무리 2023.12.26 12 0
55 새 책! 『온라인 커뮤니티, 영혼들의 사회』 박현수 지음 도서출판갈무리 2023.06.09 11 0
54 초대! 『사변적 실재론 입문』 출간 기념 그레이엄 하먼 전 지구 인터넷 화상 강연과 대담 (2023년 3월 5일 일 오후 1시) 도서출판갈무리 2023.02.28 11 0
53 한국발전산업노동조합 조합원분들을 위한 의료복지(약 650개 진료 프로그램) 복지 2023.09.14 11 0
52 택시 완전월급제 시행하라 숲나무 2023.10.16 11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