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퇴직연금 고민

조합원 2011.05.02 조회 수 1360 추천 수 0
현재 같은 연봉을 받는 직장인 두 명이 있다. 이들이 퇴직 후에 받게 되는 연금 액수도 같을까? 정답은 ‘아니다’다. 2005년 국내에 처음 도입된 ‘퇴직연금’제도 때문이다.

이른바 ‘100세 시대’가 열리면서 퇴직 후 노후를 고민하는 직장인이 늘고 있다. 평균수명은 늘어나는데 반해 고정적으로 수입이 들어오는 재직 기간은 한정돼 있어서다. 이처럼 노후를 대비하는 직장인들이 늘면서 해마다 시장이 급성장하는 것이 바로 퇴직연금제도다.

기존에 퇴직금제도가 회사 내에 퇴직금을 적립해 놓고 퇴직할 때 한꺼번에 지급받는 것이라면, 퇴직연금제도는 회사가 사외 금융기관에 일정 금액을 적립하고 근로자는 퇴직 시점에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지급받는 제도다. 40년 간 지속돼 온 퇴직금 제도가 회사에는 경영 부담을 안겨 주고 근로자에게는 불안감을 안겨 줬다면, 퇴직연금제도는 금융기관에 관리를 맡겨 안전하고 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퇴직연금 시장이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다고 해도 여전히 직장인들에게는 선택에 어려움이 따른다. 난해한 용어는 물론이고 다양한 상품들이 봇물 터지듯 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퇴직연금 상품을 고르기 전 가장 고민스러운 게 DB(확정급여형)형이냐 DC(확정기여형)형이냐 다.

퇴직연금은 크게 기업이 투자 운용을 책임지는 DB형과, 근로자 개인이 책임지는 DC형 두 가지로 나뉜다. DB형은 회사가 퇴직금에 해당하는 금액의 60% 이상을 외부에 맡겨 운용하기 때문에 근로자 계좌에는 돈이 들어오지 않는다. 반면 DC형은 회사가 매년 연봉의 12분의 1 이상을 근로자의 계좌에 적립해 주면 근로자가 직접 금융회사를 선택해 투자를 맡기는 방식이다.

직장인들 대부분이 막연히 알고 있는 것은 ‘금융을 잘 모르면 DB형을 고르고, 금융을 알면 DC형을 고르라’는 정도다. 조금 더 살펴보면 파산위험이 없는 직장이나 임금 상승률이 높은 기업, 투자 성향이 비교적 보수적인 근로자의 경우 DB형이 유리하다. 따라서 DB형의 경우 근로자의 평균임금이 높으면 퇴직연금 수령액도 그만큼 많아진다.

DC형은 근로자가 적립금을 운용하여 그 성과를 퇴직금에 반영하는 것으로 파산이나 임금 체불 위험이 있는 기업, 직장 이동이 잦고 투자 성향이 비교적 공격적인 근로자가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 퇴직 시점이 가까운 간부급은 회사가 책임지고 보수적으로 관리해 보다 안정성이 높은 DB형이 낫고, 퇴직 시점이 많이 남아 공격적인 투자로 수익성을 추구하는 젊은 사원이라면 DC형이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대부분 보수적이고 안정적인 성향이 강해서 직접 퇴직연금을 고르고 운용하는 데 어려움을 많이 느낀다”면서 “기대 수명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노 후대비를 위한 퇴직연금 가입에 근로자와 회사가 함께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5330 어찌되어가나 1 우리는 2013.04.03 2629 0
5329 철의 여인과 첩의 여인 2 경향 2013.04.10 3522 0
5328 퇴직연금 4 조합원 2011.03.26 2892 0
5327 발전회사 노사 31개월째 단체교섭 ‘표류’ 7 조합원 2011.03.04 2634 0
5326 복지자금 추천 정보공유 2011.03.05 2296 0
5325 단체협약 교섭속보 정통한 2011.03.05 3087 0
5324 지경부, 3월 4일 발전6사 사장단 회의 소집 1 지경부 2011.03.04 2674 0
5323 전력노조위원장 선거 3월 8일, 기호 1번 김주영 Vs 기호 2번 김홍욱 전력노조 2011.03.04 3757 0
5322 복불복!! 나만 아니면 돼에~ 4 개똥아똥쌌니아니요 2011.03.05 2934 0
5321 여성 차장들은 지방 발령 왜 안내는지요? 3 불만차장 2011.03.05 4348 0
5320 ★ (속보)발전노조 단협체결!!!! 24 발전맨 2011.03.05 15283 0
5319 탈퇴하고자 하는 조합원의 심정은 오죽하겠습니다. 1 발전노동자 2011.06.18 2609 0
5318 현장의 빛 7호(제11년차 대의원대회 주요 쟁점들 외) 2 현투위 2011.04.22 1685 0
5317 [강령 토론회] 혁명정당 강령 정립을 위한 토론회 - 1차 사노위 의견그룹 2011.04.22 3532 0
5316 '소문이 사실로?' KT 직원 희망퇴직(=퇴출프로그램) 실상 희망퇴직 2011.04.24 4094 0
5315 퇴직연금제 적극 찬성 합니다. 그리고 괴 소문 하나... 12 개나리 2011.04.22 5518 0
5314 자화자찬 발전 2011.03.08 2529 0
5313 잠정합의된내용 1 잠정내용 2011.03.08 3036 0
5312 한전 등 공기업 22곳 성과급 잔치 1 성과급 2011.03.08 2819 0
5311 "돈 때문에 무릎꿇을 수는 없기에 동지여러분의 연대를 호소드립니다" 전북버스파업투쟁본부 2011.03.08 1816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