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원전수사단 사실상 해체...공식발표 왜 안하나

한수원 2015.03.28 조회 수 1353 추천 수 0

원전수사단 사실상 해체...공식발표 왜 안하나

종결선언 없이 3년째 시간만..."원전수출 등 저해" 업계 원성

천근영 기자chun8848@ekn.kr 2015.03.26 18:34:01

 

art_1427362395.jpg

▲ 원전비리수사단(이하 원전수사단)이 사실상 해체됐는데, 수사종료를 선언하지 않고 시간만 보내고 있어 원자력계의 원성을 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경제 천근영 최석재 기자] 원전비리수사단(이하 원전수사단)이 사실상 해체됐는데, 수사종료를 선언하지 않고 시간만 보내고 있어 원자력계의 원성을 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본지 취재 결과 부산지검 동부지청 원전비리수사단이 12명에서 2명으로 대폭 줄었고, 더 이상 수사도 하고 있지 않아 사실상 해체된 것으로 확인됐다.

원전수사단은 작년 초까지 단장 포함 검사 12명에 수사관 70여명 등 80여명이 배치돼 있었으나 현재는 검사 2명만이 남아 한수원과 납품관계에 있는 원전업체의 계약서류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전수사단은 한수원을 비롯 한국전력기술 납품업체 등 원자력 관련회사의 비리와 부패 척결을 위해 지난 2013년 9명으로 원전비리수사단을 구성한 후 작년 초 12명까지 검사를 늘리고 한수원은 물론이고 한전기술 한전원자력연료 등 한전 원자력관련 자회사 그리고 이들과 계약관계 있는 납품 및 용역업체에 대한 전방위 수사를 벌여왔다.

이 과정에서 원전수사단은 비리를 저지른 부품 납품업체의 직원과 한수원 전 사장과 부사장 본부장 등 고위 간부를 구속하는 등 적지 않은 성과를 올렸다. 원전수사단은 2013년 9월 중간발표까지 김종신 전 한수원 사장 등 43명을 구속기소하고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등 54명 불구속기소했다.

이 후 작년 5월 43명을 구속기소하고 55명을 불구속기소했다는 두번째 중간결과를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수사단은 이후 10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별다른 실적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부산지검도 이런 상황을 인정하고 있다.

부산지방검찰청 동부지청 한 관계자는 "원전비리수사단 담당 검사가 2명으로 줄어든 것이 두 달째 접어들었다"며 "한수원이 스스로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고 정화작용을 통해 현재 더 이상의 수사는 힘든 상황"이라고 밝혀 사실상 수사중단 상황을 인정했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원전비리 수사에 대한) 집중 시기는 지났지만 고리 1호기 연장 등 언제든 뜨거운 현안으로 부상할 여지가 있는 만큼 항상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해 여지는 남겨뒀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원전비리수사단이 검사 12명에 수사관 70명이나 붙어서 대대적인 수사를 벌이며 수백명을 잡아들여놓고도 구속한 것은 50명 남짓이고, 그 중 한수원 직원은 불과 몇 명 안 돼 체면을 구긴 상황이라 수사종결을 선언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며 "1만명이 넘는 인력이 있는 한수원을 수사해 이 정도밖에 안 나왔다면 한수원은 ‘원자력마피아’가 아니라 오히려 비리와 부패의 ‘청정지대’ 아니냐"고 반문했다.

또 그는 "대통령이 비리 적폐해소를 외치면서 끝까지 수사할 것을 지시한 것이 부담이 되겠지만 밑도 끝도 없는 수건 돌리기는 그만하고 빨리 종결을 선언하는 게 국가와 국민을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종순 조선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역시 "원전비리 수사가 3년을 끌면서 한수원은 물론이고 원전업계의 피로감이 만성화된 상황"이라며 "비리가 드러나면 그 때 다시 수사단을 꾸리더라도 종결을 선언하는 것이 살아나고 있는 원전수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익명을 요구한 원자력계 한 고위 관계자도 "극소수가 비리를 저질렀을 뿐인데, 전체가 마치 죄인집단처럼 매도하는 것도 참기 힘들지만, 이런 상황이 수년 이어지니까 열심히 하겠다는 의욕도 생기지 않는다"며 "검찰이 체면 때문에 수사를 질질 끈다면 피로감이 만연해 오히려 복지부동과 무사안일주의가 패배주의로 귀결돼박 대통령의 동남아 4개국 순방 이후 원전수출 등 원자력산업의 활성화 분위기가 살아나야 하는 데도 여전히 동면 상태"라고 꼬집었다.

이렇다 할 실적도 내지 못 한 채 3년째 계속되고 원전비리수사가 원자력계를 멍들이고 있다.

천근영, 최석재 기자 sjjw@ekn.kr

1개의 댓글

Profile
수색대
2015.03.28

원전 업계에서 일하는 것 당연히 죄가 아니다.

그러나 원자력 핵발전은

인류에게 재앙이 틀림없다.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970 산별 중앙의 완패를 예언했던 후 다음판을 예언한다 2 완결판 2012.01.21 1008 0
1969 노자간에 힘의 표현인 단체협약 제2발 2012.02.13 1008 0
1968 감동입니다!! 문꿀오소리 2017.05.18 1008 0
1967 연봉제 및 노동유연성 남부 2014.07.01 1007 0
1966 PD수첩-KT 민영화와 인력퇴출프로그램 10월 11일(화) 11시 15분 방송 3 노동자 2011.10.11 1006 0
1965 남동소식지(2011년 11호) 4 조합원 2011.10.31 1006 0
1964 서부노조의 결의 한다면한다 4 서부인 2015.06.16 1006 0
1963 휴무일이라 그런지 조용하군(냉무) 2 휴무 2011.06.11 1005 0
1962 발전중앙은 진정 모른다 말이냐...조합원들이 원하는것을 ....이제 발전노조원도 토마토들만 남게 되었네.... 4 발전사랑 2011.11.04 1004 0
1961 한일병원 해고 조리노동자, 병원측과 ‘고용승계’ 합의 한일병원사건 2012.04.24 1004 0
1960 조합원들의 이기주의가 판을 치고 있네요 중부인 2011.05.13 1003 0
1959 한일병원 식당 노동자의 수기 각성하라 2012.04.17 1003 0
1958 슬라보예 지젝, 금융대출자 안락사시키는 정부의 정책 노동과정치 2012.07.02 1003 0
1957 발전노조 정치후원금은 적법한 건가요? 1 걱정이 2011.05.25 1002 0
1956 기업위원장은서울어디서사나요 궁금 2014.05.08 1002 0
1955 나의 길 어틀러 2011.05.29 1001 0
1954 남부본부장 타임오프 해지 7 사측노조 2011.12.23 1001 0
1953 중간정산 반드시 받는 것으로 협의해라!! 일부러 반대로 하지 말고 2 복수전? 2011.05.04 1000 0
1952 안성현 지부장이 조합원들에게 보낸 글 4 보령인 2012.01.06 1000 0
1951 놀민추 양아치들의 비열함 7 북벌 2012.01.11 1000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