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제활성화

투데이 2013.11.18 조회 수 2289 추천 수 0

정부가 새해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한 게 10월 2일.

 박근혜 대통령의 예산안 시정 연설은 그로부터 47일 지난 뒤 이뤄졌다.

국정감사, 해외 순방 등으로 예년에 비해 다소 늦어졌다. 정치적 여야 대립도 영향을 줬다.

'예산안 시정 연설'인지라 예산안 설명이 주였다.

A4 15페이지 분량 중 11페이지를 예산안 설명에 할애했다.

 뒷부분 정치권에 대한 호소 등을 빼면 연설의 80% 가량이 경제로 채워졌다.

경제 진단부터 예산안 처리, 입법 호소 등으로 이어지는 연설의 키워드는 '경제 활성화'다.

 '창조경제' '경제 민주화' 등 현 정부의 대표적 국정과제는 그 밑에 배치됐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현 정부의 최우선 순위는 경제부흥"이라고 말했다.

정부 출범 초 경제 부흥, 창조경제 등이 병렬적으로 나열됐다면 이젠 경제 활성화가 맨 윗자리에 있다는 의미다.

출발점도 절박감보다 자신감이다.

 '7분기 연속 0%대 저성장'의 모습은 '2분기 연속 1%대 성장'으로 바뀌었다.

 '취업자수 3개월 연속 40만명 이상 증가' '월 수출액 500억달러 돌파' 등도 지금의 성적표다.

확인되는 경제 회복 모습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경기 회복세를 경제 전반으로 확대시키고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게 경제 활성화"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도 "겨우 불씨를 살렸을 뿐"이라며 "모멘텀을 살려가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멘텀의 하나로 규제 완화를 언급했다.

정부는 3차에 걸친 투자활성화 대책을 통해 제조업, 입지, 환경 분야 규제 완화 방안을 내놨다.

대기 중이었던 대형 프로젝트가 물꼬를 텄고 대기업 중심의 투자도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이 규제완화를 전 산업 분야로 넓히겠다는 게 박 대통령의 구상이다.

박 대통령은 "특히 의료, 교육, 금융, 관광 등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업에 대한 규제를 과감히 풀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규제완화 패러다임도 제조업 중심에서 탈피하겠다는 얘기다.

이미 실무 작업은 진행 중이다.

다음달 중순 내놓을 4차 투자활성화 정책에 의료, 관광 등 대표적 서비스업 관련 규제 완화 방안이 담긴다.

또하나의 모멘텀은 예산안과 경제 관련 법안의 처리다.

박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외국인투자촉진법안 △관광분야 투자활성화 법안 △주택시장 정상화를 위한 주택관련 법안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중소기업 창업지원 법안 등을 직접 꼽았다. 파급 효과도 언급했다. 정홍원 국무총리와 현오석 경제부총리 등이 지난달 국회에 법안 처리를 호소한 데 이어 박 대통령이 '마지막 호소'를 하는 모양새를 취한 셈이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대통령이 직접 법안 처리를 호소하면서 최소한 여당의 뒷받침은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현안에선 공공부문 개혁을 언급한 게 눈에 띈다.

방만 경영과 예산 낭비를 지적하고 해법으로 부채, 보수·복리후생 제도 등 모든 경영정보의 공개를 제안했다. 공기업 개혁에 대한 현 정부의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공공기관 정책에 대한 원칙이 천명된 것"이라며 "정책에 속도감을 더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실제 박 대통령이 시정 연설로 중심을 잡아준 것만으로 행정부엔 힘이 된다.

경제팀의 정책 구상이 그대로 녹아있는 것도 긍정적 부분이다.

경제 법안 처리 호소나 공기업 개혁이 대표적이다.

박 대통령의 연설 자체가 현 경제팀에 대한 믿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경제 흐름뿐 아니라 정부부처도 모멘텀을 갖고 뛰기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191 헌법의 환상과 현실 1 제2발 2012.01.26 741 0
1190 4.11 총선 1 선거 2012.03.30 741 0
1189 투쟁하는 노동자들과 <맑시즘2014>에서 함께 토론해요! 맑시즘 2014.08.03 741 0
1188 산별 중앙의 잘못된 생각들.... 6 예언가 2012.01.14 740 0
1187 정치와 노동조합 1 제2발 2012.01.16 740 0
1186 산별위원장님에게 충고 한마디 3 예언자 2012.01.16 740 0
1185 복지서비스 개선요청 진정한복지 2012.03.30 740 0
1184 전교조 법외노조 판결 과연 정당한가? 숲나무 2014.06.20 740 0
1183 강기정 “청와대 물귀신 작전, 후안무치의 막장드라마 강기정 2012.04.01 739 0
1182 서부노조 직권조인의 진실(2) 직권조인 2015.02.19 739 0
1181 김정일 사망 김정일 2011.12.19 738 0
1180 중부도 노사평화선언하고 서부도 하고 남동도 하겠네 그렇면 동서는언제해여 .발전노조는 어떻게 됩니까 언제 문 닫습니까 발전조합원 2011.11.08 738 0
1179 불신임을 악의적으로 작당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2 하동지부 2012.01.14 738 0
1178 법과 국가에 대한 환상을 버리자 제2발 2012.01.24 738 0
1177 프레임을 바꿔야 산다? 물타기 2012.01.17 738 0
1176 민노회만이 희망이다 - 3호 8 민노회 2012.01.06 738 0
1175 고맙습니다. 단단 2017.05.17 738 0
1174 한국 정부 주장과는 달라...의료계.국민 반발 예상 벌금 2011.11.14 737 0
1173 한국 고용불안 OECD 최고 수준…평균 근속연수 5.6년 OECD 2015.07.22 737 0
1172 응원합니다 발전노조 승리 2017.05.18 737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