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개의 직권조인 합의서 법적 충돌시 유효

직권 2012.10.25 조회 수 1870 추천 수 0

동서노조의 위원장이 2011년도 임급합의서가 2가지다

하나는 단체성과급연봉제 도입과진임금합의서

성과급 연봉제는 총회없이 위원장이 독단으로 체결한 것이고

다른 임금합의서는 총회를 거친 합의서다.

법적으로 충돌하는 경우 어느 것이 유효할까?

상식적으로 생각했을때 총회를 거친 임금합의서가  더욱 유효 할것이다.

 

발전노조의 성과급 연봉제 피해 여부를 KT를 예를 들었다.

실증자료를 쓰기에는 나름 한계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발전관련 회사를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 맏다고 본다.

한국전력공사가 팀별 성과급 연봉제를 도입하여 시행하고있다.

한전에 대한 성과급연봉제 도입 효과도 분석하여

실증예로 들어주길 바란다.

또한

발전민영화가 된 부천복합의 현재도 분석하여

접근하는 것이 동서노조가 말하는 선전 선동의

오해를 불식하는데 도움이 될것이다.

 

 

4개의 댓글

Profile
가나다
2012.10.25

이 런  큰 일 을  직 권 조 인  했 다 는 것 이  가 장 

큰  문 제 인 데  핵 심 을  자 꾸  빗 나 가 게  하 는  저 의 가  무 엇 인 지  궁 금 하 군 ??


Profile
수리수리
2012.10.25

직권조인 문제는 당근이죠 책임지겠죠

그러나 성과급 연봉제 민영화 문제점을 이야기 할려면

한전 및 부천복합도 예를 들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객관적으로 바라봐야 논리적으로 타당성있는 것 아닌가요 

Profile
발전
2012.10.27

한전 의 예는 연봉제의 초기단계입니다. 발전사가 연봉제 직원 까지  도입되면 본격 성과 연봉제 단계로 진행 될 것입니


다. 한수원의경우 대표적 친 회사적인 노동조합의 경우 위원장 사퇴 까지 불사했지만 아무것도 막지못했읍니다, 


부천등의 민간은  차라리 민간이라 예산통제없이 자연스례 구조조정 되고 있 습니다

Profile
2012.10.27

회사는 꽃놀이패 입니다 그러나 연봉제 도입합의서를 거짓이라고 하지는 못합니다. 이미 연봉제 도입을 시인 했습니


다. 발전노조는 당분간 적용이 안되겠죠.  큰일난 건 동서노조 조합원들이죠 


발전노조는 내년초 까지는  해당없지만 그 이후는 문제죠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771 통상임금관련 중부노조 입장 1 중부가 2012.06.03 1859 0
1770 동서군이야 말로 알고 떠들어라!! 5 너나잘해 2011.06.23 1861 0
1769 연간 25일 휴가 언제 쓰나 3 웨스턴 2015.04.25 1861 0
1768 게시판 꼬라지 하고는~~ 시레기 2013.11.07 1862 0
1767 최태일과 오경호가 생각난다 5 역사 2011.05.19 1863 0
1766 강제참석 같지만 회식 근로시간 X, 체육대회 O···기준은 경총 2018.06.27 1865 0
1765 한국의 제18대 대통령에 대한 예언서 해설 대한인 2011.03.25 1867 0
1764 발전노조 위원장은 읍참마속해야 되는 것 아닌가?? 4 zz 2011.07.04 1867 0
1763 2011 발전노조 임금 협상 자투리(퇴직금은 올라간다 그리고 임금은 내려간다 10 이상봉 2011.12.15 1867 0
1762 그래 살지말거래이 조숙아 2012.05.05 1868 0
1761 남부발전-인사권남용, 노조탄압 ‘의혹’ 1 민주신문펌 2014.03.19 1868 0
1760 노동대개악과 국정교과서 그리고 11.14 fortree 2015.10.21 1869 0
2개의 직권조인 합의서 법적 충돌시 유효 4 직권 2012.10.25 1870 0
1758 ★★ 만약에 정권이 바뀌면 발전회사에 무슨일이 벌어질까? 궁금하네요 8 궁금맨 2012.11.24 1870 0
1757 전력판매 경쟁도입 논의 재개되나? 2 전기신문 2013.04.01 1870 0
1756 south 3 south 2011.07.04 1872 0
1755 하동과 제주 일부에 경계경보 발령 8 중앙제어실 2011.05.30 1872 0
1754 동서노조 임금 협상내용 소식통 2011.12.13 1872 0
1753 의회주의와 선거 2 숲나무 2013.09.24 1872 0
1752 공공노동자들 연대파업 투쟁을 실질적으로 조직하자 민주주의 2013.12.17 1873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