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경부 비상수급대책

지경부 2011.12.26 조회 수 1579 추천 수 0

안녕하세요. 지경부 비상수급대책본부 발전사 파견근무자입니다.
최형기 전력산업과장님 말씀 전합니다.

발전6사 담당자에게 년말까지 설비점검 재강조를 알리고,
문제가 있는 발전기는 경부하 및 주말을 이용하여 정비를 하여

내년 1월 2~3째주에는 고장발전기가 한 대도 없이 운영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하셨고,
만약 동 기간에 설비 고장이 발생을 하면 문책을 하시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사업소 현장에 근무하는 직원까지 본 내용이 전달되도록 하라는 말씀도 있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개의 댓글

Profile
이머여??
2011.12.26

이 무신 황당시추에이션??....드디어 발전노조 홈피가 갈때까정 갔구만.....지경부 소식지 역할까정 해야하넹

Profile
날아라 천사
2011.12.27

올해.. 전력사정이 안 좋다 하니.. 우리의 존재감이 드러날 수 있도록 실력 발휘 필요할 때일 듯

Profile
떨떠름
2011.12.27

진짜 발전사에 근무하는 사람들 고생이 많은데.. 채찍보다 당근이 필요하지 않을 까요...

 

Profile
그래서...
2011.12.27

세상에 원인과 결과 있는 법인데..

넘.. 우리들만.. 갈구는 건 아닌지...

 

발전사에 근무하는 우리 죄가 먼데요...

Profile
홧~팅
2011.12.27

오늘 무쟈게 춥네. 올 겨울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해서 발전 노동자여 홧~팅 합시다!

Profile
구멍난고무신
2011.12.27

맨날 사람줄이고 경비절약하고 전력수급안정보다 수익에 급급하게 만들면서 무신 설비안정성을 기대하나...언제까지..무한경쟁....그럴수로 우리나라 전력수급은 점점 더 안좋아질것같다...

 

 

Profile
전력공급
2011.12.27

발전회사 모든 사업소는 안정된 전력수급을 위하여 엄청 노력하고 있네요.

고장이 발생 되지 않도록 날씨도 많이 추운데 현장에서 고생 많습니다.

이런 과정은 무시하고 발전고장만 부각시켜 채찍을 휘두르는 것 문제가 있죠.

어째든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겠지요.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4091 산별노조,기업노조 조합원 2011.06.07 845 0
4090 발전노조에 진정으로 필요한 사람 3 미약한 발전조합원 2012.01.18 845 0
4089 집행부는 답변하여 주십시요 9 남부 2012.01.02 845 0
4088 세월호에 비친 자본과 국가 숲나무 2014.04.25 845 0
4087 정치방침과 노동조합 2 제2발 2012.03.31 846 0
4086 지방선거를 앞두고 벌어지는 한미 냉전수구세력들의 파상공세와 우리의 투쟁 과제 이한길 2014.04.18 846 0
4085 수정해야할 문구!!! 2 신임 2011.05.13 847 0
4084 참다운 노동조합의 출범을 고대하며 4 tjgoqkek 2012.01.09 847 0
4083 박근혜 ‘바꾸네’… 고난도 기술 퍼옴 2012.08.08 847 0
4082 발전임직원 [연5.5% 1억3천] 특별우대행사 발전본부 2011.05.11 848 0
4081 서부 조합원 동지들께 묻습니다. 1 서부 2011.05.11 848 0
4080 우리가 인간인 이유? 2 사람 2011.10.08 848 0
4079 노무현의 FTA와 이명박의 FTA는 다르지 않았다 주장 2011.11.18 848 0
4078 태안 지부장 4 학암포 2011.05.10 849 0
4077 기 공고된 총회는 다음의 근거로 취소되어야 마땅하다. 14 조합원 2012.01.06 849 0
4076 글쓰기 자격 조합원 2011.12.23 850 0
4075 고용노동부 장관, "일자리 더하는 노동시장ㆍ노사관계 구축" 일자리 2011.06.04 851 0
4074 2012단체협약 체결 법률점검 - 노조요구안을 중심으로 1 노동법률원새날 2012.03.18 851 0
4073 새누리당의 의회권력 장악과 진보정당의 해산 LP TBN 2012.04.12 852 0
4072 급진좌파 후보의 약진, 공공부문 민영화 재가동 노동과정치 2012.04.17 852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