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주3일만 일해도 행복한 사회 (임금과 노동조합 4)

제2발 2011.12.13 조회 수 1203 추천 수 0

노동자가 자본가에게 자신의 노동력(일할 수 있는 능력)을 팔면 자본가는 그 노동력을 법정노동시간(현재 하루 8시간, 주5일) 안에서 사용하여 이윤을 얻는다. 그 이윤의 일부를 노동자에게 지급하는 데 그것이 임금이다. 나머지는 자본가가 가져간다. 만약에 자본가가 없다면 노동자는 자신의 노동력을 사용하여 먹고사는데 필요한 시간만큼 노동하면 그만일 것이다. 그 노동시간은 주5일이 아니고 주3일정도가 될 것이다. 노동자들은 자본가들을 위해서 무상으로 2일을 더 일해야 한다.

 

 

한국의 노동시간은 OECD 국가 중 최장으로 하루 8.8시간 즉 주5일을 일하고도 토요일에 나와서 4시간을 더 일해야 할 정도다. 최단 노동시간인 네덜란드의 경우 하루 5.5시간만 일하면 되는 데, 월요일에서 수요일까지 8시간만 일하면 목요일은 토요일이 되어 금·토·일에는 여가를 즐기면 된다. 현재의 세계생산력의 수준으로 볼 때 자본가 없이 모두가 평등하게 노동하여 나눈다면 모든 사람들이 주 3.5일만 일하면 되는 셈이다. 여기서 0.5일은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비용을 위한 노동일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생산력이 더욱 발전한다면 노동시간은 더욱 단축될 것이다. 그야말로 놀면서 즐기는 유토피아가 현실이 된다.

 

 

임금은 노동자가 자신의 노동력을 자본가에게 판 노동력 매매가에 해당한다. 그러나 그 매매가는 노동자와 자본가 간의 공정한 매매가 될 수 없다. 그것은 돈과 권력을 쥐고 있는 자본가에 비해서 가진 것이라곤 노동력밖에 없는 노동자가 먹고살기 위해 자신의 노동력을 노동시장에 팔 수 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본주의 사회가 시작될 때부터 임금은 자본가의 무장권력으로 강제되었다. 하루 15시간 노동에 거의 입에 풀칠할 정도의 상거지나 다름없는 임금부터 시작되었다. 세월이 흘러 그 많은 노동자들의 죽음을 불사한 투쟁으로 임금이 올랐는데 우리가 받는 임금은 그렇게 300년이나 흘러왔지만 아직도 삶이 고단하기는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오히려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임금과 노동시간은 과거 200년 전의 원시자본주의로 되돌아가고 있는 느낌이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4170 [십시일반-강좌안내] 6/29(1강), 7/6(2강) 헌법과 시대정신 십시일반 2016.06.21 759 0
4169 현대건설 사기분양, 대법원 확정 판결 김기수 2016.06.20 1172 0
4168 경평결과 3 봤나? 2016.06.16 3078 0
4167 [7/1 개강] 금융화와 섹슈얼리티, 페미니즘과 모성, 노동사회로부터의 탈출, 키워드로 보는 정치철학사 다중지성의 정원 2016.06.14 4989 0
4166 석탄公 등 구조조정…8개 에너지공기업 상장 알림이 2016.06.14 1991 0
4165 중부본부장 글을 읽고 한마디 7 발전소 2016.06.13 1874 0
4164 2016 사회운동학교 여름강좌 안내 사회운동학교 2016.06.09 997 0
4163 [7월1일 개강] 다중지성의 정원 2016년 3분학기가 7월 1일 개강합니다~! 다중지성의 정원 2016.06.08 5647 0
4162 위원장 사무처장 후보에 대한 왜곡이 도를 지나칩니다. 2 중부본부장 2016.06.08 1455 0
4161 [강연 초대] 빚구덩이에 빠진 민주주의, 존망의 갈림길에 서다 ― 『크레디토크라시』 출간기념 저자 앤드루 로스 화상강연 (6/12 일 낮 12시) 갈무리 2016.06.04 3128 0
4160 발전노조 위원장/사무처장후보가 기가막힌다 7 쌩어용 2016.06.04 2098 0
4159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소송전 돌입..노총 법률대응팀 발족 로동자 2016.06.03 1214 0
4158 [십시일반-강좌안내]6/9(목) 평등과 협동을 향한 민주시민교육 십시일반 2016.06.01 761 0
4157 대법원 "동서발전은 발전노조에 7천만원 배상하라" 1 병신년 2016.05.31 1349 0
4156 공공기관 '사회통념상 합리성' 논란 증폭..법조계 "극히 일부 판례" 로동자 2016.05.30 1154 0
4155 왜 이건 안하냐? 7 고명인 2016.05.23 2469 0
4154 남동은 기본연봉도 차등이라면서요? 4 뭐하냐? 2016.05.22 2276 0
4153 [새책] 『크레디토크라시 ― 부채의 지배와 부채거부』(앤드루 로스 지음, 김의연·김동원·이유진 옮김) 출간되었습니다! 갈무리 2016.05.20 2742 0
4152 야야정 "성과연봉제 노사정 합의 진행" 노동자 2016.05.20 1165 0
4151 100만원+80%는 언제 지급되는지요 3 울산 2016.05.20 1801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