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복수노조, 달라지는 노동조합 활동

비번자 2011.06.29 조회 수 4405 추천 수 0

복수노조가 도입되면

 

노조를 추가로 설립하고 마음에 드는 노조를 선택해서 가입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노조에 조합원으로 가입할 수 있지만 각 노조가 내부 규약으로 금지 또는 제한 할 수 있다.

 

교섭창구단일화는 노조들이 자율적으로 교섭대표 노조를 정한다.

 

자율적으로 교섭대표 노조가 정해지지 않으면 과반수로 조직된 노조가 교섭대표가 된다.

 

과반수 노조가 없을 경우에는 조합원 10% 이상인 노조들이 공동으로 교섭대표단을 구성한다.

 

교섭창구단일화는 강제규정이어서 노조의 조직형태 (산별노조와 그 산하 본부, 지부, 분회, 기업별노조 상관없이)와 조합원의 중복여부과 상관없이 지켜야 한다.

 

교섭창구 단일화 단위는 사업장이다. 사업장은 곧 하나의 법인체인데, 하나의 법인체 소속 사업장이라고 할지라도 근로조건, 인사, 노무관리, 회계의 독립성이 있는 사업장도 해당된다.

 

사용자는 교섭대표 노조를 정하는 14일 동안에만 개별노조와 개별교섭을 할 수 있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야4당도

 

헌법은 비록 과반수 이하의 소수노조라도 노동3권을 보장하고 있으므로,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는 위헌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을 제기하였다.

 

(경향신문 6.29일 자 내용 일부 발췌)

 

 

지금도 각 사업장에는 조합원 과반수 조직과 상관없이 노동조합들이 설립되어있고 그들은 노동3권을 행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조직대상 100명의 사업장에서 10명이 가입한 노동조합이 있어도 사용자는 노동3권에 의해 이들과 교섭할 의무가 있고 노동조합은 단체행동권을 행사하여 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경우 지역의료보험과 직장의료보험이 통합하면서 하나의 사업장 내부에 민주노총 공공노조 사회보험지부와 한국노총 직장의료보험노동조합이 공존하고 있다. 복수노조가 시행될 경우 사회보험지부가 과반을 점유함으로 교섭대표 노동조합이 된다. 그러나 직장노조도 상당한 조합원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회보험지부는 직장노조를 무시할 수 없다. 교육과학기술부를 상대로 전교조, 한교조 등 여러 노조들이 공동교섭 대표단을 꾸려서 교섭을 해왔듯이 사회보험지부와 직장노조는 교섭대표 노동조합 두고 싸우기 보다는 공동으로 교섭단을 꾸려서 공단과 교섭과 투쟁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1개의 댓글

Profile
질문
2011.06.29

그럼 발전 산별노조의 본부도 본부에 기업별노조가 있을 경우 공동 교섭단 꾸리면 된다는 얘긴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4711 발전노조, 노조 탄압 남동발전 간부 2명 수사의뢰 5 남동발전 2015.07.27 2544 0
4710 중부노조 중앙위원회는 진실을 밝혀라!!! 12 진실 2012.07.14 2542 0
4709 남부 기업노조에서 펼쳐지는 개막장 드라마 2 갈사만 2015.08.17 2542 0
4708 뼈때리기 4 멍청이들 2019.01.09 2541 0
4707 자가당착적인 기업별노조 주동자들 숲나무 2011.07.31 2540 0
4706 삼성, 노조파괴 전략 전모 최초 공개 심상정 의원실 2013.10.16 2540 0
4705 중부본부가 이랬구먼 15 너무했네 2017.02.07 2540 0
4704 보령의 정서(자게펌) 개똥이소똥이 2011.08.02 2538 0
4703 발전회사 등 에너지 공기업 사장 공모 늦어지는 이유는? 사장 공모 2015.11.02 2536 0
4702 해복투 보령으로 이동하다 7 해복투 2011.06.24 2534 0
4701 중부추진위공약의 진실 중부본부 2011.08.18 2534 0
4700 동서는 올해 임금협상이 완전 끝났네요.. 어느 노조가 승 했을까요?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동서노조 네요...조합원들은 이제 임금인상분만 기다리면 되나요. 올해의 마지막 투쟁거리는 완전히 끝났네요.. 11 조합원 2012.12.13 2534 0
4699 동서 기업노조는 뭣 하나! 4 제기랄 2011.06.17 2533 0
4698 이종술 남부본부장님에게.. 7 남부맨 2011.03.28 2532 0
4697 자화자찬 발전 2011.03.08 2529 0
4696 우리들의 현실 1 표현의자유 2011.03.28 2527 0
4695 중부 기업별(펌) 2 나보령 2011.06.29 2525 0
4694 남부노조 하동의 성과연봉제에 대한 입장 7 하동에서 2012.10.12 2524 0
4693 태안 압수수색 사실인가요? 궁금 2018.07.20 2524 0
4692 전력·가스 산업 구조개편 논의 본격화 되나 9 전력산업 2018.05.06 2517 0
SCROLL TOP